홈 > 디렉토리 분류

1678년 류세철(柳世哲)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4+KSM-XF.1678.4772-20120630.002825700326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류세철
작성지역 경상북도 군위군
작성시기 1678
형태사항 크기: 26.5 X 36.5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오천 광산김씨 설월당종택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오천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678년 류세철(柳世哲) 서간(書簡)
1678년 10월, 회당 류세철이위보의 산송을 부탁하기 위해 용궁수령에게 보낸 편지이다. 류세철은 먼저 상대방에게 안부를 묻고, 자신의 근황을 전하였다. 이어서 이전 용궁수령의 아들이자, 류세철 자신에게는 처족이 되는 이휘보가 그 누이의 묘를 옮기는 일에 차질이 생겨서 관가에 가서 호소해야 하는 상황에 대해 적고 있다. 서로간의 의리를 보아 이휘보를 불러서 의견을 들어달라고 간청하면서 일의 형세가 자신이 부탁을 하지 않더라도 처리되어야 할 일이라고 강조하였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김인호

상세정보

1678년 10월 29일, 류세철이 이휘보의 산송을 부탁하기 위해 용궁수령에게 보낸 편지
내용 및 특징
1678년(숙종 4)년 10월에 悔堂 柳世哲李煒甫의 山訟을 부탁하기 위해 용궁수령에게 보낸 편지이다.
류세철은 먼저 상대방에게 겨울철 안부를 묻고, 軍威에서 수령생활을 하고 있는 자신의 근황을 전하였다. 寅의 행차가 군위 지역을 지나고 있어서 흠 잡힐 것이 있을 것이기에 마음이 편안하지 못하다고 하면서 하루빨리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과 수령 일을 잘 끝내지 못한 것에 대한 씁쓸한 마음을 드러내었다.
이어서 이전 용궁수령의 아들이자, 류세철 자신에게는 처족이 되는 이휘보가 그 누이의 묘를 옮기는 일에 차질이 생겨서 관가에 가서 호소해야 하는 상황에 대해 적고 있다. 서로간의 의리를 보아 이휘보를 불러서 의견을 들어달라고 간청하면서 일의 형세가 자신이 부탁을 하지 않더라도 처리되어야 할 일이라고 강조하였다.
발급인 류세철(1627-1681)은 자가 子愚, 본관이 豊山, 부는 柳元直, 생부는 柳元履이다. 柳元之의 문인으로, 1654년 식년시 3등으로 진사에 합격하여 工曹佐郞軍威縣監 등을 역임하였다. 이 편지가 작성된 당시에는 류세철군위현감으로 있을 때로, 1676년부터 1680년까지 군위현감 직을 지내고 낙향하였다.
간찰의 사연이 짧을 경우 상하좌우의 여백이 그대로 남지만, 사연이 다 끝나지 않을 경우 본문의 상여백에 이어 적고, 그 다음은 시작할 때 남겨 두었던 오른쪽 여백에 이어 적으며, 그 다음은 본문의 행간에 이어 적는다. 이러한 순서는 간찰을 개봉하여 읽어 나갈 때 접은 것을 펴서 읽은 뒤, 시계 반대방향으로 내지를 돌려 가며 읽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 간찰의 경우 처음에 여백을 꽤 많이 남기고 내용을 쓰기 시작해서, 시계 방향으로 90도를 돌려쓴 뒤에, 우측에 비워둔 부분에서 끝맺음을 하고 있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서진영

이미지

원문 텍스트

1678년 류세철(柳世哲) 서간(書簡)

寒威赳緊 謹惟此時
臨撫起居 神相萬福 區區不任
傃慰 弟 侍老僅遣 而寅行
過境 不無執頉 雖無可愧
豈得晏然于懷歟 不待所
處 欲爲快歸 居官 不善終
亦如此 只自笑耳 就恐今晋
李君煒甫 乃前李龍宮子
弟 於弟爲妻黨也 爲遷其妹墳
千里下來 事事跙{足+吾} 勢必赴訴于
官家 冀得拯濟 相親之間 不敢恝
視 敢此奉懇 望須
特垂匍匐之義 招見採施 切仰切仰
以貴縣言之 則乃是前官子弟 事体
又不可泛視 此則必不待弟言而
處之耳 自餘 心撓不宣 伏惟
下諒 謹拜上狀
戊午 十月 念九日 戚弟 世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