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이동표(李東標)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4+KSM-XF.0000.4792-20120630.002325700897_04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동표
작성지역 경상북도 봉화군
형태사항 크기: 38.6 X 26.9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가송 영천이씨 농암종택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가송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이동표(李東標) 서간(書簡)
○○년 7월 12일, 이동표가 의술가를 상대방에게 소개해주면서 상대방과 추후에 한 번 만날 수 있기를 바란다는 뜻을 전하기 위해 성명 미상의 형에게 쓴 편지이다. 먼저 상주청리에 사는 생원 윤선교라는 사람이 의술이 뛰어나다는 사실을 알리며 그가 어디에 사는지 알려주었다. 또한 자신이 문수산에 갈 계획이었으나 집안의 우환이 있어 현재로는 어렵고 가을에나 한 번 갈 생각인데 그 때 풍기영주 사이 교외에서 형을 만나면 좋겠다는 뜻을 전하며 편지를 마친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김인호

상세정보

○○년 7월 12일, 이동표가 자신의 아이와 아버지 병세를 전하며 상대방의 안부를 묻고 추후 한 번 만날 수 있기를 바란다는 뜻을 전하기 위해 쓴 편지
내용 및 특징
○○년 7월 12일, 李東標가 자신의 아이와 아버지 병세에 치료에 도움을 준 의술가를 상대방에게 소개해주면서 상대방과 만날 일을 잊지 않고 있으나 지금은 어려우니 추후에 한 번 만날 수 있기를 바란다는 뜻을 전하기 위해 성명 미상의 형에게 쓴 편지이다. 편지를 받는 사람의 이름 없이 다만 형이라는 호칭만 기록되어 있어, 상대방이 누구인지 명확하지 않다.
이동표는 상대방이 보내준 두 통의 편지가 자신에게 매우 위로가되었다는 감사의 인사로 편지의 첫머리를 시작하였다. 그 편지 덕에 상대방이 편안함을 알게 되어 다행인데, 다만 그 집안의 병환이 여전한 것 같아 걱정하는 마음을 전하였다. 그러면서 상주청리에 사는 생원 尹善敎라는 사람이 의술에 정밀하다며 이미 여러 중병 환자들이 효험을 보았다는 소문이 있다고 말하였다. 자신의 아이의 병에 대해서도 이 사람에게 물어보았는데, 아직 분명하게 효과가 나타나진 않고 있지만 처음보다는 나아졌다고 말하고 있다. 그리고 그가 어디에 사는지 알려주었다.
이동표는 아마도 상대방과 文殊山에 갈 계획을 세웠던 것 같다. 그런데 집안의 우환이 깊고 더위도 채 가시지 않아 현재로서는 어렵겠다는 뜻을 표하며 가을에나 한 번 도모해보겠다고 말하였다. 그리고 형이 한가할 때 풍기영주 사이 교외에서 한 번 만나면 좋겠다는 뜻도 함께 전하고 있다. 文殊山은 지리적인 위치상 경상북도奉化郡에 있는 산인 듯 하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이 편지를 보낸 李東標(1644~1700)는 본관이 眞寶, 字가 君則, 號는 懶隱으로 경북 예천군금릉리에서 출생하였다. 松齋 李堣(1469~1517)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李雲翼 어머니는 순천김씨 金厚基의 딸이다. 1683년(숙종 9) 증광문과 을과로 급제하여 내관직으로는 성균관 전적, 홍문관 부수찬 등을 역임하였고, 외관직으로는 창락도 찰방, 양양 현감 등을 역임하였다. 기사환국 때 仁顯王后의 폐위를 반대하여 죄를 입은 朴泰輔 · 吳斗寅 등을 伸救하다가 양양현감으로 좌천당하였다. 그 뒤 사간원헌납 · 이조좌랑 · 홍문관 교리 등에 임명되었으나 그때마다 사직하고 귀향하였으므로 사람들은 小退溪라 일컬었다. 예천으로 낙향한 뒤에도 계속하여 관직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으며, 사직의 상소와 함께 그때마다 직언으로 시정의 개선책을 건의하였다. 저서로는 『懶隱文集』이 있다.
이 편지는 영천이씨 농암종택에서 엮은「先賢筆蹟」 안에 수록되어 있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최은주

이미지

원문 텍스트

이동표(李東標) 서간(書簡)

兩度書 次第承折 不覺山
河之隔闊 慰豁何可量 仍
伏審
兄體候萬重 仰慰仰慰 第
宅中病患 一樣 前日
之傳 誤矣 貢慮不淺不淺
州 靑里
尹生員 善敎甫
於醫術 諸處重病 多見効
兒病亦問於此人 未可送問
之否 此人 去在李參奉 在岡
丈家前矣 弟 親患 自數日離
却 幸何可喩 而氣敗已極 粥飮
不能近口 此間煎灼 如何如何 兒病
雖未知顯効 而比初似間 猝發之病 庶易得藥
力 惟是之望耳 弟 文殊之計未嘗忘
而憂患汨汨 日熱尙未退 何可易動 姑對秋高 一遂
能如意也 朴兄
事 極可慮 都事
公 若來 更須力
言之 如何 弟 則嫌
不敢 兄言公所
未前 兄若乘閑約會於
間郊處 則弟 敢不往赴 兼修
許多人事 但恐此等好事 多不
也 不宣 伏惟
兄下照 狀上
七月 十二 服弟 東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