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권현수(權鉉叟)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4+KSM-XF.0000.4717-20120630.002325700897_18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권현수, 박성휘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형태사항 크기: 27 X 39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가송 영천이씨 농암종택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가송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권현수(權鉉叟) 서간(書簡)
○○년 12월 4일, 권현수가 화운시를 부탁하기 위해 박성휘에게 보낸 편지이다. 권현수는 상대방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담은 7언 율시와 5언 절구를 각각 한 수씩 쓰고 자신의 모든 마음이 이 두 시구 안에 있으니 번다하게 다른 말을 할 필요가 없고, 다만 상대방이 찾아와 주기를 바랄 뿐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만약 찾아올 상황이 아니라면 당신께서 자신의 시에 곧 화답해 달라고 부탁하고 있다. 끝으로 중용을 보내달라고 부탁하며 편지를 마친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김인호

상세정보

○○년 12월 4일, 권현수가 화운시를 부탁하기 위해 박성휘에게 보낸 편지
내용 및 특징
○○년 12월 4일, 權鉉叟가 화운시를 부탁하기 위해 朴聖徽에게 보낸 편지이다.
권현수박성휘에게 화운을 구한다는 말로 시작하여 상대방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담은 7언 율시와 5언 절구를 각각 한 수씩 썼다. 7언 율시의 내용을 살펴보면 희미한 등불이 깜빡이는 삼경에 상대방이 없다는 사실에 놀라 깼더니 깊은 골짜기에 바람이 불고 달이 높이 떠올라 침상을 비추고 있다고 하였다. 이어서 옛 친구는 소식이 없고 낡은 문은 항상 닫혀 찾는 사람이 없다고 하면서, 새벽 창가에 일어나서 앉아있으니 마음이 안 좋아져서 짧은 시로 이별의 마음을 푼다고 하였다. 그 다음에 쓴 5언 절구의 내용은 기쁜 마음으로 상대방의 노래를 바라고 있는데 홀로 오래 머무를까 시름겹다고 하면서, 눈바람이 어지럽게 부는 것을 꺼리지 않고 옛 친구 기꺼이 찾아올지 않을까 하는 바람을 적었다. 편지 끝부분에는 자신의 모든 마음이 이 두 시구 안에 있으니 번다하게 다른 말을 할 필요가 없고, 다만 상대방이 찾아와 주기를 바랄 뿐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만약 찾아와 주지 못할 상황이라면 자신의 시에 곧바로 화답하여 보내달라고 부탁하였다. 이 외에 추록으로 『중용』을 보내달라는 말을 덧붙였다.
이 편지는 일반적으로 안부 인사를 건네는 말로 시작되는 여느 편지들과는 다른 형식을 보이고 있다. 인사말 대신 상대방에게 화운을 구한다는 말과 함께 두 수의 시를 썼는데, 이는 편지 전면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발급인이 편지를 보내는 주된 목적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 편지의 경우 자신이 보내는 시에 대한 화운을 부탁하는 사연 외에 별다른 내용이 없기 때문에 회문 형식을 취하고 있지는 않다. 처음에 거의 여백 없이 글을 적고 추록은 종이의 오른쪽 끝 부분에 기록하고 있다.
이 편지는 영천이씨 농암종택에서 엮은「先賢筆蹟」 안에 수록되어 있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김동현

이미지

원문 텍스트

권현수(權鉉叟) 서간(書簡)

笑呈
朴聖徽旅軒下 求和
殘燈明滅意三更 欹枕無君夢自驚 萬壑留風終夜響 亂上宵月半牀明
故人漸遠無消息 敝戶常關絶剝聲 起坐曉窓懷正惡 爲將短律寫離情

靑眼望君謳 應愁獨淹留 莫憚風雪亂 肯訪故人不
萬端底懷 都在此間 不言煩 但賁然是望 不然 卽和而投 擬作遠地面目
壬午 臘月 四 不忘弟 權鉉叟 稿

中庸付送 如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