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년 ○○○(○○○)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4+KSM-XF.0000.0000-20120630.E47840786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형태사항 크기: 24 X 34.5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년 ○○○(○○○) 서간(書簡)
○○년 ○월 ○일, 발신자와 수신자가 미상인 편지이다. 저번에 활터에서 만나 이별하여 당신의 소식을 알지 못했는데 비 내리는 중에 당신의 편지를 받으니 위로된다고 하였다. 자신은 체증으로 고생중이고 당신께서 편지로 부탁하신 일은 인원을 보충하지 않을 경우 즉시 힘써 조치하겠다고 하고 있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김인호

상세정보

○○년 ○월 ○일, 편지로 부탁받은 일 때문에 보낸 수신인 및 발신인 미상의 편지
내용 및 특징
○○년 ○월 ○일, 편지로 부탁받은 일 때문에 보낸 수신인 및 발신인 미상의 편지이다.
활터에서의 만남이 아직까지도 위로가 되는데, 雨中에 편지를 받고 안부를 알게 되어 감사하다는 내용이다. 記末인 자신은 滯症으로 고생중이라고 하고, 말씀하신 일은 잘 알았고 상대의 春府丈에 관련된 일을 대충하지는 않을 것이나 병 때문에 외출을 못하고 있다고 하였다. 편지로 부탁하는 것은 금명간에 出代하지 않을 경우 즉시 힘써 조치하겠다는 내용이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권경열,최은주

이미지

원문 텍스트

○○년 ○○○(○○○) 서간(書簡)

謝上

射埓之奉 尙用慰
沃 卽於雨中 承拜
辱問 謹委
客中 仕履衛
勝 尤荷尤荷 記末 謹以滯
苦 委此床笫 良可
悶也
示事謹悉 而吾於
春府丈事 豈可泛然 顧此病
勢 末由出門 至於書托 初未有
擬銓家者也 今昨如未出代 則如
可强 卽進力誦矣 餘 不備
卽日 記末 煩不名 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