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년 홍희조(洪羲祖)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4+KSM-XF.0000.0000-20120630.E47840784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홍희조, 이원조
형태사항 크기: 30.5 X 46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년 홍희조(洪羲祖) 서간(書簡)
홍희조가 안부차 이원조에게 보낸 편지이다. 발신일은 미상이다. 당신의 편지를 받아 위로되고 상대의 자제가 잘 도착했다는 것을 알게 되어 기쁘다고 하였다. 이어서 자신은 엄한 탄핵을 받아 걱정이며 보석으로 나 올 정도의 병인데 내 보내 줄 기약이 없으니 안타깝다고 하였다. 또한 전날 밤에 보낸 편지는 아직 받아보지 못하였는지를 물어 보았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김인호

상세정보

홍희조가 안부차 응와 이원조에게 보낸 편지
내용 및 특징
洪羲祖(1787-?)가 안부차 凝窩 李源祚(1792-1872)에게 보낸 편지이다. 발신일은 미상이다.
그리던 차에 편지를 받고 더위에 편안함을 알게 되어 위로가 된다는 것과, 상대의 자제가 잘 도착하여 기쁘다는 것을 말하였다. 자신은 엄한 탄핵을 받아 걱정이며, 保放될 정도의 병인데 감안하여 내 보내 줄 기약이 없으니 안타깝다고 하였다. 전날 밤에 보낸 편지는 아직 받아보지 못하였는지를 물었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권경열,최은주

이미지

원문 텍스트

○○년 홍희조(洪羲祖) 서간(書簡)

謹拜謝上

阻拜懷仰 伏承
下札 謹審熯炎
仕候萬衛 伏慰伏慰
胤友穩稅 尤喜尤喜
記下 所被嚴譴 惶
阨何喩 病在保放
勘出無期 悶憐 前
夜之書 果未得覽
餘留 不備禮
卽 記下 洪羲祖 拜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