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52년 이홍직(李弘直)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4+KSM-XE.1752.4717-20120630.00042510070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작성주체 이세경, 이홍직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752
형태사항 크기: 50 X 42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법흥 고성이씨 탑동종가 / 경상북도 안동시 법흥동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752년 이홍직(李弘直)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752년 1월 6일, 이세경안동부동읍마평원 밭을 화폐 50냥을 받고 6촌 아우 이홍직에게 팔면서 작성해준 토지매매계약서이다. 토지매매계약서에는 형식적이든 구체적이든 대부분 매매이유를 표기한다. 조선전기에는 토지거래를 제한했기 때문에 매매가 이루어질 경우 그 이유를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17세기 중반 이후 토지매매가 활발해지면서 '긴요하게 쓸 데가 있어서'라고 하여 매매이유를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 문서에는 형식적인 매매 이유마저 기재하지 않았다. 또한 매매계약서의 작성에는 파는 사람, 증인, 계약서 집필자 등이 참여하는데, 이 계약서에는 증인과 집필자를 따로 세우지 않고 토지의 주인 이세경이 자필로 작성하였다. 이것은 토지를 파는 사람과 사는 사람이 6촌 형제 사이여서 꼭 필요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서은주

상세정보

1752년 1월 6일, 李世慶安東府東邑馬坪員 밭 16負 4束을 50兩에 6촌 아우 李弘直에게 방매하면서 작성해준 토지매매명문
내용 및 특징
1752년(영조 28) 1월 6일, 李世慶安東府東邑馬坪員 밭 16負 4束을 50兩에 6촌 아우 李弘直(1724~1768)에게 방매하면서 작성해준 토지매매매명문이다.
토지매매명문에는 형식적이든 구체적이든 대부분 매매사유를 표기한다. 조선전기에는 토지거래를 제한했기 때문에 매매가 이루어질 경우 그 사유를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17세기 중반 이후 토지매매가 활발해지면서 ‘要用所致’, ‘緊用處’ 등 매매사유를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 문서에는 형식적인 매매 사유마저 기재하지 않았다.
토지의 매입자는 방매자의 6촌 아우 이홍직이다. 그는 외삼촌 權濂(1701∼1781)에게 수학했으며, 1754년(영조 30) 증광시 진사에 합격하였다. 이홍직의 스승 권렴은 霽山 金聖鐸의 문인이며, 1729년(영조 5)에는 密菴 李栽를 스승으로 섬기며 학문을 배웠다. 이홍직의 양자 李宗周(1753~1818) 역시 李象靖金宗德의 문인으로 1780년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이홍직은 가문은 퇴계학맥을 가학으로 전승했으며, 당대의 퇴계학맥의 핵심 인물들과 교유했다. 사회적 기반의 안정과 더불어 이홍직의 경제적 기반 역시 안정되었을 것이다. 고성이씨 탑동파에는 이홍직1752년뿐만 아니라 4년 뒤인 1756년에도 고성이씨로부터 安東城前員에 있는 논 10부 5속을 매입하였다.
이세경은 16부 4속의 밭을 50兩에 매도했다. 조선시대 토지매매거래 수단은 포목, 미곡, 소, 화폐 등이다. 그러나 시기마다 대표적인 교환수단의 변화가 있었다. 조선전기에는 포목, 미곡, 소 등 현물이 화폐대신 사용되었다. 상평통보의 유통이 활발해지면서 토지매매에서도 현물 대신 화폐를 사용하는 경우가 훨씬 많아지게 되었다.
이 문서의 대상이 되는 토지는 安東府東邑馬坪員이다. 안동부성에서 동쪽으로 5리쯤 가면 낙동강과 반변천이 만나는 곳이 있다. 낙동강의 동쪽에 마평원(현재 용상동 일대)이 있다. 고성이씨는 낙동강과 반변천이 만나는 곳에 세거했는데, 그곳을 중심으로 부내, 마평원, 낙동강의 남쪽에 위치한 남선 등지에 토지를 집중적으로 확대하였다.
매매명문의 작성에는 방매인, 증인, 筆執 등이 참여하는데, 이 명문에는 증인과 집필을 따로 세우지 않고 토지의 주인 이세경이 자필로 작성하였다. 토지의 매도자와 매입자가 6촌 사이여서 증인을 필요로 하지 않았을 것이다.
『韓國法制史攷』, 朴秉豪, 법문사, 1987
『증보판 한국고문서연구』, 崔承熙, 지식산업사, 2003
『朝鮮中期田畓賣買硏究』, 李在洙, 집문당, 2003
『16세기 한국 고문서 연구』, 이수건 외, 아카넷, 2004
『안동학연구』 6집, 이욱, 한국국학진흥원, 2010
『국학연구』 17집, 전경목, 한국국학진흥원, 2010
김명자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52년 이홍직(李弘直)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乾隆十七年壬申正月初六日同姓六寸弟李弘直
前明文
右文爲移賣次傳來馬坪員子二十二田
捌負三十五田捌負肆束庫兩作竝價折
錢文伍拾兩依數捧上爲遣右人前永永
放賣爲去乎日後良中或有雜談是去等用
此卞正事

田主 自筆 同姓六寸兄 李世慶 [署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