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3년 안동군 임현내면(臨縣內面) 임하동(臨河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臨河洞은 조선 후기 안동군임현내면에 속해 있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秋月里의 일부가 병합되었다. 1931년 행정구역 변경에 따라 안동군임하면에 편입되었다. 1995년 안동군이 안동시와 통합되면서 안동시에 속하게 되었다.
이 마을은 반변천이 흐르는 강가에 있어 臨河라 하였다. 임하현의 관아가 있던 곳이라 하여 縣內라고도 한다. 남쪽에는 구릉지와 산간 지대가 이어져 있고, 북쪽에는 반변천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른다. 마을 앞으로 반변천을 따라 북서-남동 방향으로 경작지가 펼쳐져 있다. 안동권씨, 의성김씨, 단양우씨가 수백 년 동안 세거하였다.
길마[吉峴, 기리마], 중마[中里, 중촌, 중리], 한절골, 뒷모테, 잣밭, 마답, 골마, 구래, 벽계, 추월[강달, 가을달] 등의 자연마을이 있다. 길마는 마을의 지형이 소에 짐을 싣기 위하여 얹어 놓은 길마와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중마는 마을의 중앙에 있으며, 십이지삼층석탑(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06호), 중앙삼층석탑(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6호), 동삼층석탑(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05호), 二愚堂宗宅(경상북도 민속자료 제38호) 등이 있다. 이우당종택은 안동권씨 副正公派 臨河支派 權寏의 종택으로 1640년(인조 18)에 건립되었다. 한절골은 큰절이 있다고 하여 그 명칭이 유래한다. 마을 입구에는 芝村 金邦杰의 셋째 아들 木窩 金遠重이 1678년(숙종 4)에 건립한 五柳軒(중요민속자료 제184호)이 있다. 북쪽으로 원림사지와 그 주위에 원림사지 오층석탑, 蓮花座臺石佛坐像 등이 있다. 뒷모테는 마을의 뒤쪽에 있으며, 잣밭에는 잣이 많이 난다. 마답은 縣廳이 있었을 때 우마를 매어두었다고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중마와 마답 사이에 있는 골짜기에 골마라고 하는 마을이 있다. 구래는 마답의 서쪽에 있는 마을로 지형이 습하고 웅덩이가 진 것 같아서 붙인 명칭이다. 벽계에는 仙遊亭, 학산정, 白雲亭(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75호) 등의 정자가 있다. 추월의 명칭에는 두 가지 이야기가 전한다. 추월이라는 기생이 평생 절개를 지키면서 살았다고 하여 秋月로 불리게 되었다는 이야기와 지형이 반달 모양으로 생겨 반달이라 했는데 음이 변하여 강달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 밖의 문화재로는 虎溪書院(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5호), 오층석탑(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80호), 良洞宅(경상북도 민속자료 제58호), 松石齋舍,(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8호), 泗濱書院(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9호), 菊灘宅(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5호), 雲谷書堂(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76호) 등이 있다.
1913년 현재 임하동에는 姜氏, 權氏, 金氏, 朴氏, 裵氏, 沈氏, 禹氏, 劉氏, 柳氏, 李氏, 張氏, 鄭氏, 趙氏, 崔氏, 韓氏, 洪氏 등 적어도 16개 이상의 성씨가 거주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가운데 김씨, 권씨가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1934년 조선총독부에서 발간한 『朝鮮の姓』에는 안동권씨 35호가 거주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日帝下 朝鮮土地調査事業 計劃案의 變更過程」, 남기현, 『史林』 32, 수선사학회, 2009
『朝鮮土地調査事業硏究』, 愼鏞廈, 韓國硏究院, 1979
『朝鮮土地調査事業の硏究』, 宮嶋博史, 東京大學 東洋文化硏究所, 1991
『朝鮮の姓』, 朝鮮總督府, 龍溪書舍, 2002
『安東의 地名由來』, 안동시립민속박물관, 安東民俗博物館, 2002
『朝鮮の姓』, 朝鮮總督府, 龍溪書舍, 2002
『安東의 地名由來』, 안동시립민속박물관, 安東民俗博物館,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