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70년 이돈우(李敦禹) 고신(告身)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4+KSM-XA.1870.1100-20120630.000325700954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교령류-고신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정치/행정-임면-고신
작성주체 고종, 이돈우
작성지역 서울특별시
작성시기 1870
형태사항 크기: 66 X 54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70년 이돈우(李敦禹) 고신(告身)
1870년 11월에 고종통정대부이돈우통정대부 형조참의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통정대부형조참의는 현재 공무원 직급으로 1급에 해당한다. 이돈우에게는 같은 해 윤10월에 통정대부를 받은 문서가 존재한다. 그리고 이달에 다시 형조참의의 관직에 임명된 것이다. 이 문서는 4품 이상의 품계나 관직을 내릴 때 발급되는 것으로 그에게 정3품 통정대부형조참의의 품직이 내려졌기 때문에 이 형식의 교지가 발급 되었다.
『增補版 韓國古文書硏究』, 崔承熙, 지식산업사, 1989
鄭求福, 『古文書硏究』 9·10, 한국고문서학회, 1996
유지영, 『古文書硏究』 30, 한국고문서학회, 2007
최진옥, 『古文書硏究』 30, 한국고문서학회, 2007
김순주

상세정보

1870년(고종 7) 11월, 고종통정대부(通政大夫)이돈우통정대부 형조참의(通政大夫 刑曺參議)에 임명하는 문서
내용 및 특징
1870년(高宗 7) 11월 ○일에 高宗通政大夫李敦禹通政大夫 刑曺參議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통정대부는 정3품 上階이다. 그리고 형조참의는 정3품직이다. 그는 같은 해 윤10월에 통정대부에 加資되었는데 이와 관련한 문서가 존재한다. 그리고 이달에 다시 형조참의의 관직에 제수된 것이다. 이 문서는 4품 이상의 품계나 관직을 내릴 때 발급되는 교지이다. 그에게 정3품 통정대부형조참의의 품직이 내려졌기 때문에 이 형식의 교지가 발급된 것이다. 5품 이하는 臺諫의 署經을 거쳐 이조 ․ 병조에서 왕명을 받들어 발급하며, 문서식도 이조나 병조가 왕명을 받들어 임명한다는 의미의 ‘奉敎’를 쓴다. 하지만 4품 이상은 서경을 거치지 않고 왕명에 의해 바로 임명되며 문서 첫머리에 ‘敎旨’를 쓴다. 그리고 연호 아래에 ‘施命之寶’를 찍는다.
李敦禹(1807~1884)는 자는 始能, 호는 肯庵, 본관은 韓山이다. 부친은 梅窩 李秀應(1789~1864)이며, 大山 李象靖(1711~1781)의 현손이다. 1807安東府一直縣蘇湖里에서 태어났다. 1850년 增廣試 문과 병과로 급제하였는데, 이와 관련한 홍패가 있다. 이후 承文院正字典籍校理를 역임했다고 하나 이와 관련한 문서는 현재까지 확인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1860년 2월에 그의 부친인 李秀應通政大夫의 품계로 加資해 주는 告身이 있는데, 그 문서에 기재된 발급사유에는 ‘侍從臣司諫院正言李敦禹’라고 기록되어있다. 이를 통해 그는 1860년 즈음에 정6품 사간원정원직을 역임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1870년 윤10월에 정3품 通政大夫에 加資되었다. 1882년에 그가 종2품 嘉善大夫 吏曹參判에 제수되면서 증조부 李埦(1740~1789), 조부 李秉運(1766~1841), 부친 이수응 모두 추증되었는데, 이와 관련한 문서가 남아있다. 저서로는 『肯庵集』이 전한다.
『增補版 韓國古文書硏究』, 崔承熙, 지식산업사, 1989
鄭求福, 『古文書硏究』 9·10, 한국고문서학회, 1996
유지영, 『古文書硏究』 30, 한국고문서학회, 2007
최진옥, 『古文書硏究』 30, 한국고문서학회, 2007
김동현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70년 이돈우(李敦禹) 고신(告身)

敎旨
李敦禹通政
大夫刑曺參議


同治九年十一月 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