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19년 류장식(柳璋植)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3+KSM-XF.1919.4717-20110630.0090257007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류장식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919
형태사항 크기: 25.5 X 50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천전 의성김씨 제산종택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919년 류장식(柳璋植) 서간(書簡)
1919년 2월 10일에 류장식이 자신의 아들을 사돈댁에 보내면서 잘 부탁한다는 뜻을 전하기 위해 보낸 편지이다. 자신의 안부를 비롯해 산모와 아기가 별탈이 없다는 소식을 전하고, 마을에 전염병이 유행할 것 같아서 걱정스럽다고 하였다. 그리고 오래전부터 자신의 아들을 그쪽에 보내 공부를 시키려고 생각했고 이제서야 뜻을 이루었지만 오랫동안 머물 수 없어서 데려 왔다고 하면서, 상대방에게 모자란 자신의 아이를 힘써 가르쳐서 이끌어주기를 부탁한다고 하였다.
서진영

상세정보

1919년 2월 10일, 류장식이 자신의 아들을 사돈댁에 보내면서 그를 잘 부탁한다는 뜻을 전하기 위해 보낸 편지
내용 및 특징
1919년 2월 10일에 可林 柳璋植이 보낸 편지이다. 발급인 류장식은 자가 圭範이고, 본관이 全州이다. 그는 바로 好古窩 柳徽文의 현손으로, 芙溪 柳東秀 문하에서 공부하였다.
류장식은 자신이 예전처럼 쓸데없이 바쁘게 지내고 있다고 하였다. 산모와 아기가 모두 무탈하기에 기특하고 다행하다고도 하였다. 그런데 촌에 전염병 기운이 치성할 것 같으므로 매우 염려스럽다고 하였다. 류장식은 자신의 아들을 門下로 보내어 공부를 시키려고 생각하였던 것이 오래되었는데 이제야 비로소 뜻을 이루긴 하였으나, 또한 오랫동안 머물 수 없어서 부득이 데리고 왔다고 하였다. 그런데 그가 자질이 용렬하고 재주가 아둔하니 가르쳐 인도하지 않으면 마구 날뛰게 되어 결국 상대의 웃음거리가 될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면서 부디 힘써 그를 가르쳐서 일마다 이끌어 달라고 하였다. 전수하는 日課는 상대의 재량껏 마땅한 바를 골라서 아이의 舊習을 조금이나마 바꿀 수 있도록 해 달라고 하였다. 결국 이 편지는 자신의 아들을 사돈댁에 보내면서 그를 잘 부탁한다는 뜻을 전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平闕은 문장을 쓰는 과정에서 특정한 명사를 만났을 때 행을 옮겨 쓰거나 혹은 공간을 띄워서 글자를 쓰지 않는 것을 말한다. 평은 행을 바꾸는 것으로 擡頭를 말하고, 궐은 글자를 비워두는 것을 隔字 또는 間字를 말한다. 세로쓰기를 할 때, 평상적으로 시작하는 글자의 위치를 ‘平行’이라고 하는데, 대두법을 사용하여 높이 적는 위치를 ‘極行’이라고 한다. 궐은 평처럼 대두를 사용하여 극행으로 올려 적거나 행을 바꾸는 것과 달리 존대를 해야 할 용어를 띄어 적는 방법이다. 이 간찰에서는 ‘顔色’·‘誨語’’·‘胤舍兄’ 등에서 궐을 써서 상대방을 높였다.
김장경,최연숙

이미지

원문 텍스트

1919년 류장식(柳璋植) 서간(書簡)

省式 陸續候謁 輒賜顔色 垂誨語 自
顧蒙陋 何以獲此於長者之門也 旣歸 而
腹猶果然 殆月十日未瘳 更伏審春日向

服中氣體候神護萬相 胤舍兄棣履增
重否 今年運氣 大都不好 歸村 似免此厄
眞可謂淸淨世界 何等仰賀 査下生 冗碌
猶昔 新生母子 俱無頉 奇幸 而村底漸似
爎原爲慮 奈何 囝也 久擬遣置門下 與被
爐錘之力 而種種礙障 今始遂意 而亦不可
久留 不得已率來 然但渠質劣才鈍 重失敎
導 飛揚悠泛 全無受敎之資 貽笑大方
所愧爲父 幸望力加提掇 隨事敎詔 渠亦
不敢不動結 所授日課 惟擇其所宜 俾得少變其舊習
或有前頭一線可望 則區區感德 如何報謝耶 餘
不宣狀禮 惟祝千萬保重 以慰瞻仰
下察
己未二月初十日 査下生 柳璋植 再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