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08년 유도헌(柳道獻)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3+KSM-XF.1908.4717-20110630.00812570345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유도헌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908
형태사항 크기: 19.2 X 39.5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908년 유도헌(柳道獻) 서간(書簡)
1908년 7월 20일에 류도헌이 안부인사와 송천에 사심이 있지 않다는 사실을 전하기 위해 보낸 편지이다. 먼저 봄에 편지를 보냈는데 상대방의 아들이 받지 못했다고 하니, 중간에서 잃어버린 것이 아닌가 하였다. 몇 달 연락이 안 되고 무더위를 겪으니 항상 그리운 마음이 든다고 말하고 상대방과 집안사람들의 안부를 물었다. 근래 고향에 갔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왕래하면서 객지에서 지내는 생활이 괴로울 것이라고 하면서 옛사람의 말을 인용하여 상대방을 위로하였다. 또 상대방 부친의 원고를 가을에 다시 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하니 무척 다행스럽다고 하였다. 자신은 더위로 힘이 다 빠지고 세상 소문이 흉흉해서 매우 탄식스럽지만 하늘에 맡길 뿐이라고 하였다. 끝으로 편지에서 언급한 송천에 대한 일은 자신이 어찌 송천에 사사로움이 있어서 그런 것이겠냐고 하였다.
서진영

상세정보

1908년 7월 20일, 유도헌이 안부인사와 송천에 사심이 있지 않다는 사실을 전하기 위해 보낸 편지
내용 및 특징
1908년 7월 20일에 柳道獻(1835-�1909)이 안부인사와 松川에 사심이 있지 않다는 사실을 전하기 위해 보낸 편지이다.
유도헌은 먼저 봄에 恕卿 집의 인편을 통해 편지를 보내고 며칠 뒤에 서경을 만나 편지를 전달했다는 말을 들었는데, 지금 상대방의 아들이 받지 못했다고 하니 혹시 중간에서 유실된 것이 아니냐고 하였다. 몇 달 째 연락이 안 되고 심한 무더위를 겪으니 항상 그리운 마음이 든다고 하고, 초가을에 상대방과 집안사람들의 안부를 물었다. 그리고 근래 고향에 갔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왕래하며 객지에서 지내는 생활이 괴로울 것이라고 하면서 “낡은 상과 엉성한 자리가 도리어 아름다운 곳이 되고, 바람에 빗질하고 목욕하는 것이 도리어 나쁘지 않다.”라는 말을 인용하여 객지에서 고생하는 상대방을 위로하였다. 또한 상대방 부친의 문고를 가을에 重刊할 수 있을 것이라는 소식을 支伯에게서 들었는데 무척 다행스러운 일이라고 전했다. 유도헌 자신은 더위를 먹어서 힘이 다 빠진데다가 세상 소문이 날로 흉흉해서 매우 탄식스럽지만 믿을 것은 하늘뿐이니 하늘에 맡길 뿐이라고 하였다. 끝으로 상대방이 지난번 편지에서 송천의 일에 대해 언급했는데, 자신이 어찌 송천에 사심이 있어서 그러한 것이겠느냐고 하면서 헤아려달라고 하였다.
유도헌은 자가 賢民, 호가 田園, 본관은 豊山으로 가운데 숙부 柳進翰(1798-1856)에게 출계 갔고 생부는 柳進翼(1787-1851)이다. 만년에 遺逸로 천거되어 의금부도사를 지냈고 저서로는 『田園集』이 있다. 그의 아버지 이진한은 1844년 문과에 장원급제하였고, 조부 柳相祚(1763-�1838)도 1794년 문과 을과1등으로 급제하였으며 豊安君으로 襲封되었다.
간찰의 사연이 짧을 경우 상하좌우의 여백이 그대로 남지만, 사연이 다 끝나지 않을 경우 본문의 상여백에 이어 적고, 그 다음은 시작할 때 남겨 두었던 오른쪽 여백에 이어 적으며, 그 다음은 본문의 행간에 이어 적는다. 이러한 순서는 간찰을 개봉하여 읽어 나갈 때 접은 것을 펴서 읽은 뒤, 시계 반대방향으로 내지를 돌려 가며 읽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 간찰의 경우에는 우측에 여백을 많이 남기고 내용을 쓰기 시작해서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남아 있는 여백에 남은 사연을 기록했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최연숙

이미지

원문 텍스트

1908년 유도헌(柳道獻) 서간(書簡)

春間因恕卿家便, 因得付數字, 而
其後幾日對恕卿, 問已付前去書云
則曰信傳云矣. 今接胤友而問之, 則
答以未見, 其或中間遺失而然耶?
阻積已幾箇朔, 備經無前潦暑
懷仰無時不憧憧. 伏惟新秋
經軆度以時沖迪, 大小節次第平安?
聞近就古庄有月, 竊想來往棲屑
惱費萬端, 其何以排遣定頓耶? 古人
云, 弊床䟽席, 報爲佳境, 櫛風沐風, 還
是不惡, 正今日語也.
先先生文稿重刊之役, 亦次第等事, 而
聞諸支伯言, 則將秋來克圖云, 何幸何幸?
長夏病暑, 凘頓無餘, 且時聞日怖
不辰之歎, 極矣, 奈何奈何? 只侍者天, 而天
且漠然, 只當任之而已. 向書中, 以松川
事畧有云云, 吾豈有私於松川而然耶?
兄必俯諒矣. 唯冀
起居衛重, 以副遠望. 不備.
戊申 七月 二十日, 弟 柳道獻 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