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84년 이교영(李敎榮) 외 3인 위장(慰狀)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3+KSM-XF.1884.4777-20110630.00332570059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위장
내용분류: 종교/풍속-관혼상제-위장
작성주체 이교영, 이덕영, 이수억, 이수암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작성시기 1884
형태사항 크기: 30 X 33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84년 이교영(李敎榮) 외 3인 위장(慰狀)
1884년(고종 21) 윤월에 이교영 등이 약파 이현발의 죽음에 대해 위로하고 종복에 대해 상의하기 위해 충효당 주손가에 보낸 위문편지이다. 먼저 문중의 운이 쇠퇴하여 갑자기 오늘 이현발의 상사가 났으니 고인이 남긴 모범을 다시 의지할 데가 없게 되었다고 했다. 이어 종가 여러 사람의 안부를 물었다. 종복은 지금 세상에서 모두 이를 행하고 있으니 정리와 예의에 본래 그러한 바라고 했다. 그런데 재정이 어려운 문중에서 큰 비용을 감당하기 어렵고, 이곳에서 나누어 짓는다면 취사에 어려운 점이 있다고 하니 그곳에서 상복에 쓰는 몇 사람의 두건과 띠를 지어 부쳐 보내주면 도리와 사체에 모두 마땅할 것이라고 했다. 종복을 정한 상황에서 실띠를 하고 출입하는 것이 미안하니 지체하지 말아 달라고 했다.
김선주

상세정보

1884년 윤월 11일, 이교영 등이 이현발의 죽음에 대해 위로하고 종복에 대해 상의하기 위해 충효당 주손가에 보낸 위문편지
내용 및 특징
1884년(고종 21) 윤월에 李敎榮 등이 藥坡 李鉉發의 죽음에 대해 위로하고 宗服에 대해 상의하기 위해 충효당 주손가에 보낸 위문편지이다. 발급인 이교영·李德榮·李壽嶷·李壽嵒은 모두 재령이씨 문중의 인물들이며 楮谷에 거주하고 있었다.
먼저 문중의 운이 쇠퇴하여 갑자기 오늘 宗君의 상사가 났으니 長德의 遺範을 다시 의지할 데가 없게 되었다고 했다. 이어 종가 여러 사람의 안부를 묻고 四日之制를 예법에 따라 잘 지냈느냐고 했다. 부음을 듣던 날에 나아가 곡하지 못했던 자신들의 사정을 말하고, 매우 슬프고 부끄러웠다고 했다. 宗服은 지금 세상에서 모두 이를 행하고 있으니 情禮에 본래 그러한 바라고 했다. 그런데 주손가의 이전 편지의 小紙에서 ‘여기에서 服을 만드는 것은 정당한 도리가 아니고 또 베를 쓰는 일은 이루 다 헤아릴 수 없는 혐의가 없지 않으므로 대개 사람마다 受服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했는데, 재정이 어려운 문중에서 큰 비용을 감당하기 어렵고, 이곳에서 나누어 짓는다면 취사에 어려운 점이 있다고 했다. 그곳에서 몇 사람의 巾帶를 지어 부쳐 보내주면 도리와 사체에 모두 마땅할 것이라고 했다. 종복을 정한 상황에서 絲帶를 하고 출입하는 것이 미안하니 지체하지 말아 달라고 했다.
喪禮는 죽음이라는 부분에 있어서 四禮가운데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따라서 서간문 가운데 위장은 일반 서간에 비해 특별한 서식을 갖추고 있다. 즉 일반 서간에 비해 글씨를 작게 쓰고 초서가 아닌 정서를 쓰며 지면의 상단을 확연하게 띄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용어 역시 특별하게 사용하는데, 서신을 나타내는 용어로 書나 札 등의 용어를 쓰지 않고 疏를 쓴다. 또 수취인이 喪人일 경우 哀座下․ 哀座前․ 哀座․ 哀次 등의 용어를, 그가 머물고 있는 곳을 孝廬․ 廬所․ 廬下․ 廬次․ 廬史라고 칭한다. 그리고 服人일 경우는 服座下․ 服座前․ 服座․ 服案․服史 등의 용어를 쓴다. 이는 모두 『禮記』와 『孝經』 등에 근거하여 ‘哀’자와 ‘服’자를 쓰는 것이다. 이외에도 발급인은 스스로를 罪人이라고 표현하고, 문두에 稽顙․稽顙再拜․頓首․頓首再拜․省禮․省式 등의 용어를 사용하는데 이 용어들 역시 발급인 또는 수취인의 당시 상황이나 위계관계 등에 따라 구분하여 쓴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金血祚,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김장경,최연숙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84년 이교영(李敎榮) 외 3인 위장(慰狀)

省式言 門祚衰薄
宗君喪事 遽出於今日 長德
遺範 更無地依憑矣 痛哭何
言 承伏審
僉節宣衛重 四日之制 以禮過
行 諸哀曁服中 俱免大毁損
悲溯之餘 有可仰慰者 伏念
宗樑摧頹之歎 去益靡抑矣 第
扶持之 保存之 其責極重大 幸十
分加之意 如何如何 族弟等 聞訃
之日 固當小大趨哭 以
伸年來依仗之私 而
堂內劇憂 幷以痘虎
在在 有難起作於門
外 坐是若路人之立聽
而胥弔者然 幽明
間辜負多矣 悲愧
可言
宗服 孰敢有異議
而不無自爲一宗之
分 爲禮所防 然今則
世皆行之 情禮固
然 而前書小紙
之示 以爲自此修服 恐非
正當道理 且以用布
一款言之 不無多不勝
記之嫌 蓋面面受服
是當然 財難之門 浩用亦非可堪 若於此
分製 則取舍有難處 自彼製幾人
巾帶付送 則於道理於事體 俱
可得宜 更入諒度 貿今市布切仰
宗服旣定 而以絲帶出入 極未安 勿之
遲緩如何 餘不備狀禮
甲申勒月十一日 族弟 敎榮 德榮 壽嶷 壽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