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84년 이망구(李望久) 외 1인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3+KSM-XF.1884.4713-20110630.003325700205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망구, 이익구
작성지역 경상북도 경주시
작성시기 1884
형태사항 크기: 30 X 38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84년 이망구(李望久) 외 1인 서간(書簡)
1884년 5월에 이망구 등이 은전이 내려진 것을 축하하기 위해 보낸 편지이다. 발급인 이망구이익구는 그 항렬자로 보건대 여주이씨 문중의 인물들로 보인다. 먼저 국가의 은전이 내려져 머지않아서 집안에 훌륭한 사람들이 가득하게 모일 것이라고 하면서 치하하였다. 이어 당상과 상대 형제 및 큰아들의 안부를 물었다. 종질부 모자가 가는 것은 함께 경하할 처지에서 정리와 예의상 당연한 바이기는 하나, 큰비가 아직 개지 않은 상황에서 먼 길을 가는 일이므로 무사히 잘 도착했는지도 물었다. 자신들도 마땅히 하객들의 자리에 나아가 참석하여야 하지만 그 뜻을 이루지 못했고 흉년을 겪은 끝에 부조할 물품도 없으므로 부끄럽다고 했다.
김선주

상세정보

1884년 5월, 이망구 등이 상대에게 은전이 내려진 것을 축하하기 위해 보낸 편지
내용 및 특징
1884년 5월에 李望久 등이 恩典이 내려진 것을 축하하기 위해 보낸 편지이다. 발급인 이망구李翼久는 그 항렬자로 보건대 驪州李氏 문중의 인물들로 보인다. 藥坡 李鉉發의 막내사위가 驪州李錫晉인데 아마도 발급인들이 그와 관련된 인물로 보인다. 그렇다면 수취인은 李性浩, 갑신년1884년(고종 21)일 것으로 보인다.
먼저 국가의 은전이 내려져 春府丈의 壽帖이 이르니 머지않아서 집안에 훌륭한 사람들이 가득하게 모일 것이라고 했다. 상대가 부모님을 영화롭게 모시는 효성에 대하여 자식 된 사람들이 어찌 부러워하고 스스로 부끄럽게 여기지 않겠느냐고 치하하였다. 이는 이현발이 이 무렵에 壽職을 받게 된 일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현발은 이 편지의 발신일 직전에 하세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어 堂上과 상대 형제 및 큰아들의 안부를 물었다. 축하하는 손님과 송축하는 詩章으로 그 광채가 萬丈이나 될 것이라고 하였다. 종질부 모자가 가는 것은 함께 경하할 처지에서 情禮상 당연한 바이기는 하나, 큰비가 아직 개지 않은 상황에서 먼 길을 가는 일이므로 과연 무사히 잘 도착했는지도 물었다. 자신들도 마땅히 하객들의 자리에 나아가 참석하여야 하지만 그 뜻을 이루지 못했고 흉년을 겪은 끝에 부조할 물품도 없으므로 그저 부끄러울 따름이라고 했다.
平闕은 문장을 쓰는 과정에서 특정한 명사를 만났을 때 행을 옮겨 쓰거나 혹은 공간을 띄워서 글자를 쓰지 않는 것을 말한다. 평은 행을 바꾸는 것으로 擡頭를 말하고, 궐은 글자를 비워두는 것으로 隔字 또는 間字를 말한다. 세로쓰기를 할 때, 평상적으로 시작하는 글자의 위치를 ‘平行’이라고 하는데, 대두법을 사용하여 높이 적는 위치를 ‘極行’이라고 한다. 궐은 평처럼 대두를 사용하여 극행으로 올려 적거나 행을 바꾸는 것과 달리 존대를 해야 할 용어를 띄어 적는 방법이다. 이 간찰에서는 春府丈과 壽堂 앞에서 대두를 사용하여 극행으로 올려 적었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金血祚,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김장경,최연숙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84년 이망구(李望久) 외 1인 서간(書簡)

德洞謹拜賀狀

恩霈有霣,
春府丈壽帖至, 以指日備(滿?)玉, 孝感榮
養之誠, 爲人子者, 烏得無自愧而仰
羨耶? 謹伏問此際,
壽堂體事, 茂膺引翼之休,
承懽棣履湛勝, 允房侍學佳相.
遠念爲今日賓客之賀詩章之頌,
光紫萬丈矣, 區區仰祝, 曷可勝喩?
, 省事善諐, 已是煎懼, 且大侵餘惱,
尙未盡解來, 喫椀之飽, 有口者誠是苦
緣耳, 奈何? 從姪婦子母之行, 其在同
慶之地, 情禮當然, 而漏天尙
未快覩, 遠路行事, 其果無擾
利達耶? 事當隨後晉參於
賀客之筵, 而借無□□, 含意
未遂, 經荒之餘, 又
無物仰助, 只切愧
赧而已. 餘不備候
禮. 伏惟.
甲申五月卄六日, 契弟 李望久 翼久 等 拜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