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71년 권익(權{釒+翼})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3+KSM-XF.1871.4717-20110630.00332570017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권익, 이현발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871
형태사항 크기: 30.2 X 35.3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71년 권익(權{釒+翼}) 서간(書簡)
1871년 5월 6일에 권익이 안부를 전하고 사위와 딸이 돌아오는 일에 관해 의논하기 위해 이현발에게 보낸 편지이다. 내용으로는 먼저 더위가 심한 계절에 상대방 형제의 안부를 묻고, 자신을 비롯한 가족들은 여러 질병으로 편안하지 못하다는 근황을 전했다. 그리고 사위인 이병칠이 부지런히 공부하는지를 물으면서 난리가 평정되었다고 하나 예측하기 어려워서 사위가 돌아올 일이 걱정스럽다고 전했다. 마지막에 덧붙인 글에서는 자신이 모임에 참석한 일로 겨를이 없어서 사형인 이성호에게는 따로 편지를 쓰지 못했으니 이해해 주기를 부탁하였다.
서진영

상세정보

1871년 5월 6일, 권익이 근황을 전하고 사위인 이병칠과 딸이 돌아오는 일에 관한 제반 문제를 상의하기 위해 이현발에게 보낸 편지
내용 및 특징
1871년(고종 8) 5월에 根窩 權{釒+翼}(1821-1876)이 근황을 전하고 사위인 李秉七과 딸이 돌아오는 일에 관한 제반 문제를 상의하기 위해 藥坡 李鉉發(1810-1884)에게 보낸 편지이다. 권익은 자가 士重, 본관이 안동으로, 野遺堂 權璋의 아들이며, 屛谷 權榘의 후손이다. 그의 딸 安東權氏 權弼閨이병칠에게 시집갔는데, 이병칠은 수취인 이현발의 손자이다. 이현발은 자가 台應, 본관이 재령으로, 李壽一의 아들이다. 壽職으로 통정대부 부호군을 받았고, 유집이 있다. 그는 雲嶽 李涵의 주손이다.
먼저 梅雨가 막 그치고 찜통더위가 심한 이때에 이현발과 사돈인 李性浩 형제가 건승한지 안부를 물었다. 이어 권익은 자신을 포함한 가족들이 齒齲(치아에 구멍이 나고 썩으면서 통증이 있는 것.)와 外祟 등으로 좋지 못한 상황에 있다는 등의 근황을 전했다.
엄하게 독려하는 가운데 이병칠이 부지런히 공부하고 있는지도 물었다. 東騷가 평정되었으나 또 긴박한 사태가 벌어졌는데 확실치는 않으나 한두 가지 소문이 낭설은 아니기에 근심스러운 마음이 그지없다고 했다. 이후 사태를 예측하기 어려우니 이병칠이 돌아올 일이 걱정스럽다고 했다. 이현발 측의 소란스런 일이 이미 해결되고 도로에 근심스러운 일이 발생하지 않았는지를 물었다. 권익은 이러한 문제들을 사람을 보내어 상의하려고 했으나 이전에 이현발 쪽에 있던 자신의 종[奴]이 부름을 받고 떠났다고 하기에 인편에 이렇게 편지를 썼으니, 양해해 달라고 했다. 추신에서는 先社의 모임에 참석하여 이성호에게는 편지를 보낼 여유가 없다고도 했다.
平闕은 문장을 쓰는 과정에서 특정한 명사를 만났을 때 행을 옮겨 쓰거나 혹은 공간을 띄워서 글자를 쓰지 않는 것을 말한다. 평은 행을 바꾸는 것으로 擡頭를 말하고, 궐은 글자를 비워두는 것을 隔字 또는 間字를 말한다. 세로쓰기를 할 때, 평상적으로 시작하는 글자의 위치를 ‘平行’이라고 하는데, 대두법을 사용하여 높이 적는 위치를 ‘極行’이라고 한다. 궐은 평처럼 대두를 사용하여 극행으로 올려 적거나 행을 바꾸는 것과 달리 존대를 해야 할 용어를 띄어 적는 방법이다. 이 간찰에서는 평과 궐이 동시에 쓰였다. ‘燕攝’·‘嚴督’ 등에 평을 쓰고, ‘子舍’’·‘彧郞’’·‘貴邊’ 등에서 궐을 써서 상대방을 높였다.
김장경,최연숙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71년 권익(權{釒+翼}) 서간(書簡)

翊洞 燕愰下 侍僮

稽顙 便後月改 更切瞻耿 梅雨纔收 熏暑蒸人
伏未審辰下
燕攝體度連護崇重 子舍舍兄僉侍履淸勝
仰溸區區不任哀忱 査下生罪人 老親僅度轉轉 渾
聯近又以齒齲欠安 頹狀之苟延者 亦常以外祟爲
苦 自餘大小無不有呻喟之狀 俯仰前灼 不可盡
喩 彧郞來後祗依 而但所課甚不實
嚴督之下 倘免泛悠之責耶 東騷底定 而西東
又緊遠 則雖若未的 而一二傳說 亦非浪播 不辰
之歎 漆室之憂 容有已乎 此後事至 姑難豫
測 則彧郞歸事 亦爲關念 況女阿行之大
於■者耶 渠輩爲■說所恐動 未免焦
慮戌削 還甚悶憐耳 貴邊之撓 果
已平坦 而道路無可虞之端耶 方謀送伻
議此事 而鄙奴之前在貴邊者 又被招邀
將去云 故因便付書 下諒如何
餘適稠客之撓 荒迷不備 伏

尊下察
辛未五月六日 査下生 罪人 權{釒+翼} 疏上

適以先社 有以會集 客座稠撓 無暇有書
于査兄前 事成錄在他紙 俯諒如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