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69년 류주목(柳疇睦)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3+KSM-XF.1869.4725-20110630.006325700105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류주목, 김두흠
작성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작성시기 1869
형태사항 크기: 29 X 41.5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오미 풍산김씨 영감댁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69년 류주목(柳疇睦) 서간(書簡)
1869년 3월 1일에 류주목김두흠에게 보낸 편지이다. 먼저 받은 편지에 아직 답장도 못했는데 또 편지를 받아 감사하며, 상대방과 가족들이 편안하고 부인의 병도 회복되었다는 소식에 위안이 된다고 하였다. 자신은 아버지가 잘 도착했고 경사스러운 일도 잘 치렀다고 전했다. 그리고 도의 유생들이 집단으로 상소하는 일에 대해서는 자신의 집안은 분쟁을 화해시키자는 의견이라고 하였다. 이외에도 문경에 성을 쌓는 일이 정지되었다는 소식을 전하고, 추가한 글에서는 이만시의 근황을 전하였다.
서진영

상세정보

1869년 3월 1일, 류주목이 안부를 묻고 도소에 관한 일을 알리기 위해 김두흠에게 보낸 편지
내용 및 특징
1869년(고종 6) 3월 1일에 溪堂 柳疇睦(1813-1872)이 洛厓 金斗欽(1804-1877)에게 보낸 편지이다. 尙州愚川 출신인 류주목은 자가 叔斌이고, 본관이 豐山이다. 洛坡 柳厚祚의 장남이며, 江皐 柳尋春의 손자이다. 西厓 柳成龍의 아들인 修巖 柳袗의 주손이다. 그는 一道의 丈席으로서 당시 영남의 추앙을 받던 학자이다. 그의 학문은 류심춘의 가르침을 집안에서 승습하고 성현의 책과 조선 諸先儒의 학설을 널리 연구한 데에 기초하였다고 한다. 수취인은 피봉의 ‘金承旨’라는 말에서 김두흠임을 알 수 있고, 廬下라는 말에서 김두흠이 상중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류주목김두흠이 보낸 편지에 아직 답장하지 못했는데 계속해서 또 편지를 받게 되니 감사했다고 하였다. 편지를 통해서 봄비가 내리고 매우 추운 이때에 김두흠의 기력이 건승하고 가족들이 고루 평안하다는 것을 알게 되어 매우 위안이 되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김두흠 부인의 병이 계속되고 있다고 하므로 깊이 염려가 되었는데, 어제 張學士가 온 것으로 인하여 회복되었다는 소식을 들었기에 위안이 되었다고 하였다. 류주목 자신은 류후조가 무사히 도착하였고 慶事를 잘 치렀으므로 더할 나위 없이 기쁘고 다행하다고 하였다. 다만 날짜를 잡았다가 물리기를 여러 번 하여 사람들을 널리 부를 수 없었으므로 자리를 나란히 하여 경사를 함께하지 못하였다고 했다. 道疏(道의 전체 유생 곧 道儒들이 집단으로 상소하는 것)에 관한 일은 그 일을 주관하는 자가 근래 어떻게 처치하였는지 모르겠다고 하면서, 자신의 집안은 調停論을 견지하고 있다고 하였다. 류주목은 각각 자신의 견해를 지킬 따름이라고 하였다. 聞慶에 城을 쌓는 일은 경상도 관찰사가 防啓하였고 일을 시작한 사람이 達城에서 갑자기 죽어 그 일이 정지되었다는 소식을 들었다고 하였다. 추신에서는, 李晩蓍의 근황이 평안하다고 하였다.
간찰의 사연이 짧을 경우 상하좌우의 여백이 그대로 남지만, 사연이 다 끝나지 않을 경우 본문의 상여백에 이어 적고, 그 다음은 시작할 때 남겨 두었던 오른쪽 여백에 이어 적으며, 그 다음은 본문의 행간에 이어 적는다. 이러한 순서는 간찰을 개봉하여 읽어 나갈 때 접은 것을 펴서 읽은 뒤, 시계 반대방향으로 내지를 돌려 가며 읽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 간찰의 경우도 일반적인 간찰의 형식을 따랐다. 우측에 여백을 많이 남기고 내용을 쓰기 시작해서 시계방향으로 돌려쓰고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행간에 줄을 낮춰서 적었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金血祚,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김장경,최연숙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69년 류주목(柳疇睦) 서간(書簡)

答疏上
金承旨 廬下
省式
下疏 未上復 繼又荷伏承
下疏 感仰 姑無論 悚心爲大 連伏
審春雨多寒
侍筵哀氣力 萬加支安 庇節勻吉
不任仰慰 而閤患澒洞 拱慮深
切 昨於張學士之來 轉承就坦
之報 旋爲之伏慰耳 允從之不能
離側 安得不然耶 戚從姪 家君左
旆穩稅 慶事利過 情私喜幸
復何以加此耶 但屢期屢退 不能
廣速 至情之切 倚望之
重 擧不得齊席同慶
是甚歎缺處耳 道疏事 未
知主事者 近日處置 作如何究竟 而大抵
鄙家 卽調停
之論耳 設有
裏實之言 豈
能動得袒胸
直前之人耶
各守所見而已
聞喜築城事
近聞嶺伯防報
而始事之人 暴
死於達旅 事遂
寢云耳 所上
筮仕 尙云幸耶
此等處 惟竢命
耳 奈何 萬萬 惟在續達 不備
疏上 伏惟
哀下察
己巳三月初吉 戚從姪 柳疇睦 再拜

夏卿近節 平安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