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62년 김진림(金鎭林)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3+KSM-XF.1862.4717-20110630.00332570015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김진림, 이현발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862
형태사항 크기: 26 X 40.5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62년 김진림(金鎭林) 서간(書簡)
1862년 1월 13일에 김진림이 안부를 주고받기 위해 사돈인 이현발에게 보낸 편지이다. 내용으로는 이번에 만날 길이 있었지만 추위가 갑자기 심해진 탓에 움직이기 어렵게 되어 섭섭했었는데, 상대방의 조카와 아들을 만나고 편지도 받아 위로가 되었다고 하였다. 이어서 상대방이 외가의 초상을 당한 일에 대해 걱정하면서 건강은 회복했는지에 대해 묻고 있다. 자신은 신부가 집안에 들어와 새해를 맞은 감회도 문득 잊었으나, 아들을 잃은 계부의 슬픔은 옆에서 위로할 방법이 없고, 천상의 기일도 다가와서 슬프다고 하였다. 상대방의 아들인 이성호의 행실이 자신의 아들보다 뛰어나다고 칭찬하면서 그가 추운 길을 되돌아갈 일이 걱정된다고 하였다. 3월 즈음의 만남이 기다려진다는 말과 함께 덧붙이는 글에서는 3월에 딸아이도 데려 와야 할 것 같은데 상대방 쪽의 사정은 어떤지에 대해 묻고 있다.
서진영

상세정보

1862년 1월 13일, 김진림이 여러 가지 안부를 교환하기 위해 사돈인 이현발에게 보낸 편지
내용 및 특징
1862년(철종 13) 1월에 浪坡 金鎭林(1802-1886)이 여러 가지 안부를 교환하기 위해 사돈인 藥坡 李鉉發(1810-1884)에게 보낸 편지이다. 김진림은 자가 士恒, 본관이 의성으로, 생부는 東園 金羲壽이다. 부호군을 받았고, 시집이 있다. 이현발은 자가 台應, 본관이 재령으로, 李壽一의 아들이다. 壽職으로 통정대부 부호군을 받았고, 유집이 있다. 그는 雲嶽 李涵의 주손이다. 그의 장자인 李性浩(1839-1923)가 김진림의 둘째딸인 義城金氏 金又嬌와 혼인했다.
먼저 이번에 인편을 얻거나 직접 만날 수 있는 방도가 혹 있었으나 때가 되어 추위가 갑자기 심해져서 움직이시기가 어려우리라 생각되었기에 매우 섭섭하였다고 했다. 그런데 이현발의 조카와 아들을 만나고 또 이현발의 편지를 받게 되니 크게 위안이 되었다고 했으나 이현발이 근래 외가의 상사를 당하고 또 그 슬픔으로 건강을 해친 일에 대하여 걱정스러운 마음을 표했다. 그러면서 잘 조섭하여 건강을 회복했는지 물었다. 딸이 어린 것들을 데리고 여전한 것은 보살펴준 덕택이라고 했으며 이성호南州로 간 것에는 부득이한 일이 있어서겠지만 이 추위에 몸을 해칠까봐 걱정스럽다고 했다.
자신은 신부가 집안에 들어와 홀연 새해를 맞은 감회도 잊었다고 했고, 그녀가 음식을 잘해 올린다고 했다. 그러나 아들을 잃은 季父의 지극한 슬픔은 노인이 감당할 바가 아니라서 지켜보는 자들이 위로해드릴 방도가 없고, 川上의 기일도 이르게 되니 고뇌를 떨쳐내기 어렵다고 했다. 이성호의 행실은 자신의 아들과 비하여 월등히 낫다고 했으며, 그가 추운 길을 되돌아갈 일이 매우 염려스럽다고 했다. 3월 무렵에 있을 그와의 만남이 미리 기다려진다고 하고, 추신에서는 그때 딸아이도 데려 와야 할 것 같은데 이현발 측의 사정이 어떤지 등도 물었다.
간찰의 사연이 짧을 경우 상하좌우의 여백이 그대로 남지만, 사연이 다 끝나지 않을 경우 본문의 상여백에 이어 적고, 그 다음은 시작할 때 남겨 두었던 오른쪽 여백에 이어 적으며, 그 다음은 본문의 행간에 이어 적는다. 이러한 순서는 간찰을 개봉하여 읽어 나갈 때 접은 것을 펴서 읽은 뒤, 시계 반대방향으로 내지를 돌려 가며 읽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 간찰의 경우도 일반적인 간찰이 형식을 따랐다. 회문의 형식으로, 여백을 많이 남기고 내용을 쓰기 시작해서 시계방향으로 돌아가면서 내용을 기록하였고 행간에도 내용을 기록하였다.
김장경,최연숙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62년 김진림(金鎭林) 서간(書簡)

意謂今番, 或有因便拜敍
之路矣. 臨時, 則日寒猝酷, 已
料其難於動駕, 殊切悵然.
卽拜
咸氏若賢器, 兼承
惠札, 其慰豁亦大矣. 第審近

渭陽喪事, 其痛懷, 烏得不爾, 而
因此, 而
起居有欠和節, 爲之悶仰.
向後有日, 調攝得宜, 快臻坦
途否? 女阿率穉輩依遣, 知荷
眷庇, 而壻君南州之行, 想有不得,
已底事機, 而寒事如此, 如其犯觸,
則不能無瑕念耳. 査弟, 新婦入門,
頓忘逢新之感, 而極供滋況, 誠如
來示, 然但近日情
事, 從君三霜
奄過, 季父傷割,
實非篤老可堪,
在傍者仰寬無
路, 而且川上寃
日又至, 種種悲惱,
有排遣不得者, 奈
何? 賢允, 以其年
紀, 則與迷豚相較,
而其動止凡百, 比
迷豚, 不啻霄壤,
而猶曰深媿其見
笑云者, 無乃過謙耶?
爲之攢賀不已也. 第寒程歸事,
殊可念也.
咸氏伴行, 可放慮耳. 壻君會
面, 謂在三月間, 預爲企企耳. 餘客撓
倩手, 不宣. 伏惟
回察. 謹拜謝候狀.
壬戌元月十三日, 査弟 金鎭林 拜拜.

阿女, 三月間, 似當有率來, 渠
之情理亦然, 未知貴中事勢如何?
壻君旣是有三月之行, 則小轎帶
來否耶? 俯亮千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