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22년 김희신(金熙臣)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3+KSM-XF.1822.4717-20110630.008125703508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김희신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822
형태사항 크기: 34.5 X 49.5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22년 김희신(金熙臣) 서간(書簡)
1822년 3월 8일, 김희신김해 관아에 보낸 편지이다. 먼저 밤에 여행으로 피곤한 나머지 정무보시는 체후가 편안한지 묻고, 자신은 한결같이 정신없이 자잘한 일에 빠져 지낸다고 하였다. 배를 새로 만든 뒤에는 자연히 죄가 있는지 없는지 조사하는 예가 있어 장교를 보내 살폈더니 장자선은 다른 것에 비해 가장 작았다고 하였다. 유대득은 피하는 것을 꾸미는데 능하여 처음에는 허실을 서로 가릴까 염려하였는데 어젯밤에 소속창고의 보고를 보니 이것이나 저것이나 마찬가지로 같았다고 하였다. 길이와 넓이를 가지고 논하면 실을 수 있는 것은 다른 배보다 수백 곡은 줄 것이니, 만리 파도 속에 잘 건너길 보장하기 어려워 부득이 다른 고을에 정박 중인 것 가운데에서 몸집이 크고 튼튼한 것을 대신 보내니 이것이 함께 이루어나가는 의리라고 하였다. 묵묵히 헤아려주시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하였다.
김선주

상세정보

1822년 3월 8일, 김희신이 배를 새로 만든 뒤에 보고하기 위해 김해 관아에 보낸 편지
내용 및 특징
1822년 3월 8일, 김희신金海 관아에 보낸 편지이다. 먼저 밤에 여행으로 피곤한 나머지 정무보시는 체후가 편안한지 묻고, 자신은 한결같이 정신없이 자잘한 일에 빠져 지낸다고 하였다. 배를 새로 만든 뒤에는 자연히 죄가 있는지 없는지 조사하는 예가 있어 장교를 보내 살폈더니 張字船은 다른 것에 비해 가장 작았다고 하였다. 劉大得은 피하는 것을 꾸미는데 능하여 처음에는 허실을 서로 가릴까 염려하였는데 어젯밤에 소속창고의 보고를 보니 이것이나 저것이나 마찬가지로 같았다고 하였다. 길이와 넓이를 가지고 논하면 실을 수 있는 것은 다른 배보다 수백 斛은 줄 것이니, 만리 파도 속에 잘 건너길 보장하기 어려워 부득이 다른 고을에 정박 중인 것 가운데에서 몸집이 크고 튼튼한 것을 대신 보내니 이것이 함께 이루어나가는 의리라고 하였다. 묵묵히 헤아려주시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하였다. 귀부의 곡물이 비록 많지만 14척 중에 나누어 실은 것이 다 한 고을 당 배 한 척이 아니라면 조금도 방해가 없다면서 뱃사공 10여명이 낭패를 본 것은 비록 매우 딱하지만 사사로운 것으로 공적인 것을 해칠 수는 없다고 하였다. 大得이 머물러 정박하는 것이 그가 바라던 것에 적중하니 매우 통탄스럽고 못되었다고 하면서 일이 어찌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기에 이렇게 우러러 보고할 뿐이라고 하였다.
이 편지는 피봉의 여러 가지 형식 가운데 單封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단봉이라는 것은 피봉이 하나인 것으로 피봉이 있는 경우와 피봉이 없는 경우가 있다. 이 편지와 같이 피봉이 없는 경우는 내지에 사연을 쓰고 다 접은 다음 그 접은 곳이 바로 보통의 피봉과 동일하게 중간을 기점으로 좌우에 수급자와 발급자에 대한 사항을 쓰고 아래 봉합처에 해당하는 곳에 착명하였다.
平闕은 문장을 쓰는 과정에서 특정한 명사를 만났을 때 행을 옮겨 쓰거나 혹은 공간을 띄워서 글자를 쓰지 않는 것을 말한다. 평은 행을 바꾸는 것으로 擡頭를 말하고, 궐은 글자를 비워두는 것으로 隔字 또는 間字를 말한다. 세로쓰기를 할 때, 평상적으로 시작하는 글자의 위치를 ‘平行’이라고 하는데, 대두법을 사용하여 높이 적는 위치를 ‘極行’이라고 한다. 궐은 평처럼 대두를 사용하여 극행으로 올려 적거나 행을 바꾸는 것과 달리 존대를 해야 할 용어를 띄어 적는 방법이다. 이 간찰에서는 登照, 撼頓과 같은 단어에서 줄을 바꾸는 형식으로 상대에 대한 존대를 표시했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최연숙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22년 김희신(金熙臣) 서간(書簡)

金海 政堂執事 入納
密城使候書 省式謹封
昨日修謝, 想已
登照矣. 伏惟夜來
撼頓餘政候萬相? 區區仰慰
之至. 弟. 一味擾汨, 他何仰喩?
船隻新造後, 自有摘奸之例
發送將校看審, 則張字船, 比
他最小, 而劉大得, 工於謀避, 始
慮虛實之相蔽, 昨夜見屬倉
所報, 彼此一般. 以其長廣論之, 容
載者必減他船數百斛矣. 萬里
風濤, 難保利涉, 不得已以他邑留
泊中, 体大完固者代送, 此是共濟
之義.
嘿諒至仰. 貴府穀物雖多, 十
四隻中, 分載者皆非一邑一船, 則少
無所妨, 沙格十餘人之狼貝, 雖甚可矜
不可以私害公, 大得之留泊, 適中其願
殊深痛惡. 事到
無可奈何處, 故
如是仰報耳.
擾不備狀.
壬午 三月 初八日, 弟 熙臣 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