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08년 유이좌(柳台佐)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3+KSM-XF.1808.4717-20110630.008125703512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상임, 유이좌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808
형태사항 크기: 40 X 46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08년 유이좌(柳台佐) 서간(書簡)
1808년 2월 29일, 상임이 당시 안변부사로 있던 유태좌에게 보낸 안부편지이다. 먼저 남북으로 떨어져 살아 소식을 들을 수가 없어 한갓 수고로이 그리워하고만 있었다고 하였다. 봄추위가 아직도 찬데 관북은 곱절이나 심하리라 생각된다고 하면서 이러한 때에 정무를 보는 체후를 물어보았다. 자신은 영남에서 경기로 편리하고 가까운 곳을 왕래하는 것이 다행스럽지 않은 것은 아니나 고을이 이미 피폐하고 올해는 또 흉년을 만나 편안하게 살 방책이 없으니, 이리저리 생각해도 일찍 좋은 사람에게 주어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이 도리어 다른 본분인 것만 못한데도 또한 임의대로 하지 못하여 날마다 견책만을 기다릴 뿐이라고 하였다. 집안에 병을 아뢰는 것이 이어져 김 의원을 관아에 붙잡아 머무르게 하였지만 또한 겨울을 나고 봄을 보내기는 어려우니, 그 때문에 지금에서야 돌아가기를 허락하여 그 가는 편에 대략 이렇게 편지를 쓴다고 하였다.
김선주

상세정보

1808년 2월 29일, 상임이 당시 안변부사로 있던 유태좌에게 보낸 안부편지
내용 및 특징
1808년 2월 29일, 相任이 당시 安邊府使로 있던 柳台佐에게 보낸 안부편지이다. 수취인 유이좌(1763-1837)는 자가 士鉉이고, 호는 鶴棲, 본관이 豊山이다. 정조의 명으로 ‘너는 나를 도우라’는 뜻으로 이름을 ‘이좌’로 부르도록 했다고 한다.
먼저 남북으로 떨어져 살아 소식을 들을 수가 없어 한갓 수고로이 그리워하고만 있었다고 하였다. 지난겨울 김 의원이 귀부에서 돌아 방문하였는데 한 통의 편지를 전해주어 받고는 감사하고 위로되어 마치 한 번 뵌 것처럼 천 리나 멀리 떨어져 있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였다고 하였다. 다만 인편이 없어 곧바로 답장하지 못했는데 어느덧 해가 바뀌어 봄이 깊으니 그 죄송함을 어찌 말로 할 수 있겠냐고 하면서 단아한 도량으로 잘 헤아리시고 가혹한 예로 사람을 꾸짖지 않으시리라 생각됩니다만 우러러 그리운 마음은 또한 편지만큼이나 게으르지는 않다고 하였다. 봄추위가 아직도 찬데 關北은 곱절이나 심하리라 생각된다고 하면서 이러한 때에 정무를 보는 체후를 물어보았다. 자신은 영남에서 경기로 편리하고 가까운 곳을 왕래하는 것이 다행스럽지 않은 것은 아니나 고을이 이미 피폐하고 올해는 또 흉년을 만나 편안하게 살 방책이 없으니, 이리저리 생각해도 일찍 좋은 사람에게 주어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이 도리어 다른 본분인 것만 못한데도 또한 임의대로 하지 못하여 날마다 견책만을 기다릴 뿐이라고 하였다. 집안에 병을 아뢰는 것이 이어져 김 의원을 관아에 붙잡아 머무르게 하였지만 또한 겨울을 나고 봄을 보내기는 어려우니, 그 때문에 지금에서야 돌아가기를 허락하여 그 가는 편에 대략 이렇게 편지를 쓴다고 하였다.
이 편지는 피봉의 여러 가지 형식 가운데 單封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단봉이라는 것은 피봉이 하나인 것으로 피봉이 있는 경우와 피봉이 없는 경우가 있다. 이 편지와 같이 피봉이 없는 경우는 내지에 사연을 쓰고 다 접은 다음 그 접은 곳이 바로 보통의 피봉과 동일하게 중간을 기점으로 좌우에 수급자와 발급자에 대한 사항을 쓰고 아래 봉합처에 해당하는 곳에 착명하였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최연숙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08년 유이좌(柳台佐) 서간(書簡)

安邊 府衙 執事 入納 省式謹封
交阿守謝書
丙北落落, 音候莫憑 徒勞
瞻往. 客冬金醫轉自
貴府來訪, 仍致一函
下札, 承拜感慰, 恰當一晤殆不
覺千里之遠, 而第緣無便, 未卽修謝
居然歲改春深, 其爲悚歎, 如何
可喩? 竊計雅度善恕, 不以苛
禮責人, 而區區嚮仰, 亦未如書之懶也. 倘
有以諒之否? 春寒尙惻惻, 關北
倍甚. 伏惟此時
政候動止, 益復毖護? 北
俗獷悍, 剸理多暇, 不至貽
惱神用否? 弟, 自, 便近
來往, 非不爲幸, 而但邑旣弊弊, 歲
又値歉, 奠接沒策, 左右思量, 不如
早付良手, 歸晋弊廬, 還他本分, 而
亦不得任意, 惟日俟譴荷耳.
書末所敎, 豈或泛然, 而未拜書前
我卽已遞泮長
眞是無麵不託, 極
用歎恨. 家間啓
屬相續, 金醫
留衙中, 亦難
於經冬過春, 故今
始許歸, 玆因其
行, 略此修敬
萬萬不備, 伏惟
下照. 謹謝狀上.
戊辰 二月 小晦, 弟 相任 拜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