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70년 풍북면(豊北面) 오미동(五美洞) 호적(戶籍)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3+KSM-XD.1870.4717-20110630.001524600022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증빙류-호적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작성주체 풍산현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
작성시기 1870
형태사항 크기: 29.4 X 19
장정: 낱장
수량: 6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오미 풍산김씨 허백당종택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70년 풍북면(豊北面) 오미동(五美洞) 호적(戶籍)
1870년에 安東府에서 豊北面五美洞의 戶口를 조사하여 작성한 戶籍이다. 이 호적에는 풍북면오미동에 사는 16가구 86명이 수록되어 있다. 모두 3統으로, 1통과 2통에는 풍산김씨 일가가, 3통에는 타성과 과부가 살고 있다. 겉표지에 쓰인 내용을 통해 이 호적이 1869년 호구단자를 토대로 1870년에 작성하여 오미동에 보관해 둔 것임을 알 수 있다.
최연숙

상세정보

1870년, 안동부에서 풍북면오미동의 호구를 조사하여 작성한 호적
[내용 및 특징]
1870년(高宗 7)에 安東府에서 豊北面 제 14 五美洞의 戶口를 조사하여 작성한 戶籍으로 모두 6장으로 되어 있다.
조선시대 때는 3년마다 전국의 호구를 행정구역별로 조사하여 호구의 수와 이들의 職役과 본관, 연령 등을 파악하고, 또 그간의 변동을 파악하여 새로운 호적을 만들어 보관하였다. 호적은 원칙적으로 式年(子·卯·午·酉年)마다 작성되었는데, 이때 각 지방 관아의 色吏와 面里에서 각 戶主로부터 戶口式에 따라 작성된 戶口單子를 2통씩 받아서 수령이 확인한 다음 지난 式年의 호적대장과 대조해서 1통은 해당 호주에게 돌려주고, 다른 1통은 호적 색리에게 주어 새로운 호적대장을 마을별로 작성하게 하였다. 이렇게 작성된 호적대장은 本邑에 두고, 다른 2부를 더 만들어 1부는 監營에, 1부는 戶曹에 보냈다.
이 호적에는 풍북면오미동에 사는 16가구 86명이 수록되어 있다. 모두 3統으로, 각 마을별로 家座順에 따라 다섯 집을 하나로 묶어 관리한 五家作統에 따라 한 통으로 묶이었다. 1통에는 金斗欽(67세), 金守欽(48세), 金秉勻(22세), 金明欽(61세), 金重嶠(78세) 가구가 속했고, 2통에는 金洛會(40세), 金正欽(63세), 金尙欽(38세), 金弼欽(52세), 金洛斗(26세) 가구가 속했으며, 3통에는 朴泰元(49세), 金顯洛(48세), 戊乭(壬子生), 陰乭(乙卯生), 仲業(甲寅生), 西心(癸亥生) 가구가 속했다. 1통과 2통에는 풍산김씨 일가가, 3통에는 타성과 과부가 살고 있다.
이 호적의 겉표지에는 “庚午己巳 洞上 豊北第十四五美洞戶籍實人口成冊”이라고 하여, 기사년(1869년) 호구단자를 토대로 경오년에 작성하여 동에 보관해 둔 호적임을 밝히고 있다. 붉은색으로 쓴 “準”은 바로 관에서 확인을 마쳤음을 의미하는 것이고, 마지막에 쓴 “丁卯元戶十六戶人口八十六口”는 1867년 당시 오미동에 사는 원래의 가구는 16가구이고, 실제 생활하는 사람은 86명이라는 의미이다. 호구단자나 준호구에는 노비현황을 기재할 때 따로 살거나 도망한 노비까지 다 기록하는 반면, 호적에는 함께 살고 있는 노비만을 대상으로 기재하고 있다.
[자료적 가치]
이 문서는 당시 운영되던 오가작통의 실질적 모습과 가족구성원의 변동 및 집안의 혼맥 등을 살펴볼 수 있는 1차 사료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韓國史學 6』, 韓榮國,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5
『增補版 韓國古文書硏究』, 崔承熙, 지식산업사, 1989
최연숙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70년 풍북면(豊北面) 오미동(五美洞) 호적(戶籍)

庚午
己巳
洞上
豊北第十四五美洞戶籍實人口成冊
第一統統首自統內
第一戶通政大夫前行承政院同副承旨經筵參贊官春秋館修
撰官
金斗欽年六十七甲子豐山
朴氏年六十九壬戌順天
率子通德郞洛周己巳
子婦李氏年四十九壬午驪州
節孫幼學鼎秀秉璜年二十六乙巳
孫婦柳氏年二十九壬寅豐山
次孫幼學蘭秀秉璡年二十一庚戌
孫童蒙秉璇年十八癸丑
李玉年庚午
仲暹年丁亥
第二戶幼學金守欽年四十八癸未豐山
兄嫂李氏年五十一庚辰廣州
率弟幼學宇欽年四十三戊子
弟幼學濟欽年三十九壬辰
侄幼學洛樞年二十七甲辰
再從弟幼學鳳欽年四十七甲申
率奴白三
第三戶通德郞光欽丁卯故代孫幼學正秀秉勻年二十二
己酉豐山
奉曾祖母李氏戊辰
奉母洪氏年四十辛卯南陽
奉仲父幼學洛應年三十四丁酉
季父幼學洛升年二十二己酉
率婢順每年五十七甲戌
第四戶幼學金明欽年六十一庚午豐山
率弟幼學益欽年五十二己卯
率子幼學洛驪年四十三戊子
子婦李氏年四十五丙戌眞寶
子幼學洛駿年三十一庚子
子幼學洛駧年二十六乙巳
侄子幼學洛鱗年二十五丙午
率婢彭心年丁丑
第五戶生員金重嶠年七十八癸丑豐山
子幼學永欽年四十六乙酉
子婦權氏年三十二己亥醴泉
仲子幼學仁欽章欽年二十六乙巳
季子幼學一欽年十九壬子
率婢杏心甲申
第二統統首自統內
第一戶幼學金洛會年四十辛卯豐山
李氏年四十一庚寅眞城
率子婦李氏年二十三戊申驪州
率再從孫幼學斗燮年二十四丁未
率奴千石年丁丑
率再從弟洛祥年二十六乙巳
第二戶通德郞金重恊故代第二子正欽年六十三戊辰

奉兄嫂柳氏年七十一庚申豐山
侄子幼學洛鉉年四十六乙酉
子幼學洛耆年二十八癸卯
率子婦洪氏年二十八癸卯缶林
貴切年辛巳
第三戶幼學金尙欽年三十八癸巳豐山
率子洛禧年十九壬子
子婦柳氏年二十三戊申豐山
庶弟景欽年二十八癸卯
昱欽年二十七甲辰
日悅年癸未
弟四戶幼學金重遠故代子弼欽年五十二己卯豐山
率弟幼學佑欽年三十九壬辰
率子洛淸年十九壬子
率子婦全氏年二十辛亥竺山
甲切年丁亥
第五戶幼學金喆欽故代子幼學洛斗年二十六乙巳豐山
奉母金氏年四十七甲申禮安
叔父幼學奭欽年四十辛卯
從叔幼學翼欽年二十九壬寅
四月年甲午
第三統三百自統內
第一戶幼學朴泰元年四十九壬午高靈
率弟幼學泰璂年三十九壬辰
率子幼學來鳳年三十三戊戌
率子幼學來圭年二十六乙巳
率婢在心癸未
第二戶幼學金顯洛年四十八癸未安東
弟幼學頊洛年四十五丙戌
子幼學興甲年二十五丙五
癸良戊申
第三戶寡戊乭壬子
戊占庚辰
戊姬丙戌
第四戶寡陰乭乙卯
陰占辛巳
陰每戊子
第五戶寡仲業甲寅
仲心辛巳
仲每乙丑
第六戶寡西心癸亥
西每壬午
西切己丑
丁卯元戶十六戶
人口八十六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