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11년 김성탁(金聖鐸) 백패(白牌)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3+KSM-XA.1711.1100-20110630.009022200006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교령류-백패
내용분류: 정치/행정-과거-백패
작성주체 숙종, 김성탁
작성지역 서울특별시
작성시기 1711
형태사항 크기: 100.5 X 47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천전 의성김씨 제산종택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711년 김성탁(金聖鐸) 백패(白牌)
1711년 3월 8일에 김성탁이 진사시에 3등 11인으로 합격하였음을 증명하는 문서이다. 보통 대과로 불리는 문무과에서는 33인을 뽑는데 비해, 소과로 불리는 생원진사시에서는 100인을 뽑는다. 생원시는 1등 5명, 2등 25명, 3등 70명을 선발하는데, 김성탁은 전체 41등이다. 대과에 급제한 이들에게는 홍패가 부여되며 합격을 말하는 용어도 급제라고 한다. 반면 소과에 합격한 이들에게는 백패가 부여되고, 용어도 입격이라고 한다. 또한 생원시에 선발된 이들은 성균관에 입학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는데 입학해서 300일 이상을 수학하면 문과에도 응시할 수 있다. 다만 성균관에서의 공부 과정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문과에 응시할 수 도 있다. 김성탁이 진사시에 합격한 것은 그의 나이 28세였다.
최연숙

상세정보

1711년 3월 8일, 숙종이 유학 김성탁에게 진사 3등 제11인으로 합격한 것을 증명하여 발급한 진사시 합격증서
내용 및 특징
1711년(肅宗 37) 3월 8일에 유학 金聖鐸이 進士試에 3등 11인으로 합격하였음을 증명하는 문서이다. 문무과[大科]가 33인을 뽑는데 비해 생원진사시[小科]에서는 100인을 뽑았는데, 1등이 5명, 2등이 25명, 3등이 70명이다. 김성탁은 진사시에 3등 제11인으로 합격하였으므로 이는 전체 41등으로 합격하였음을 의미한다. 뒷면 표지에는 황색 종이 위에 ‘幼學金聖鐸進士三等第十一人’을 한 줄로 써서 진사시 급제자의 당시 신분, 이름 및 성적을 표시하였는데, 진사시 합격 당시 김성탁은 幼學의 신분이었음을 알 수 있다.
김성탁에 관한 실록 기사를 보면 김성탁1724년에 한량인 신분에서 加資하라는 전교가 보이고, 1728忠翊將에 임명되며, 1732년 종9품직인 영릉참봉에 임명된다. 그 뒤 1735년 문과에 합격하면서 1737李玄逸의 伸寃疏를 올렸다가 旌義에 유배될 때까지 영조의 신임을 얻어 사헌부지평, 사간원정언, 공조좌랑, 홍문관부수찬 등의 요직에 임명되지만, 유배지에 풀려나지 못하고 1747년에 사망한다.
진사시에 합격하면 이들에게는 성균관에 입학할 자격이 부여되며, 성균관에 입학해 300일 이상 수학하면 문과에 응시할 수 있었기 때문에 원칙적으로는 진사시에 합격했다는 것은 관직으로 나아갈 가능성에 한 발짝 다가선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얼마든지 문과에 응시할 수 있는 길이 있었으므로 바로 문과에 응시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이는 문과합격자에게 발급되는 홍패에서 생원이나 진사가 아닌 幼學의 신분으로 합격한 사람이 많이 등장하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백패는 생원진사시 합격자에게 내리는 합격 증서로 흰 종이에 쓰며, 연호의 두 번째 글자 위에 ‘科擧之寶’를 찍는다. 경국대전 禮典에 백패에 관한 문서식이 규정되어 있는데 문무과 합격자에게 발급한 홍패식과 유사하다. 다만 합격증서의 색깔과 합격을 뜻하는 용어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문무과 합격자에게는 ‘及第’라고 하고, 생원진사시 합격자에게는 ‘入格’이라고 써서 이들을 구분하였다.
『增補版 韓國古文書硏究』, 崔承熙, 지식산업사, 1989
鄭求福, 『古文書硏究』 9·10, 한국고문서학회, 1996
유지영, 『古文書硏究』 30, 한국고문서학회, 2007
최연숙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11년 김성탁(金聖鐸) 백패(白牌)

敎旨
幼學金聖鐸進士三等第十一人
入格者
康熙五十年三月初八日
幼學金聖鐸進士三等第十一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