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14년 이이연(李頥延)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2+KSM-XF.1814.4717-20100731.002825700219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이연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814
형태사항 크기: 29.7 X 40.2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오천 광산김씨 설월당종택 /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14년 이이연(李頥延) 서간(書簡)
1814년 11월 7일에 연안 이씨의 이이연이 광산김씨의 설월당 종가에 보낸 편지이다. 계암 김굉(1577~1641)이 왕조로부터 문정의 시호를 받은 것은 온 나라가 축하할 일이며, 시호를 받은 것을 축하하는 연시례에 자신도 직접 참석해서 예를 지켜보고 축하드려야 하지만 부득이하게 자신에게 다른 일이 있어서 참석하지 못한다는 내용의 편지이다. 일반적인 편지의 형식에서 서두에 상대방의 안부를 묻는 격식이 생략되어 있고, 추신이 부가되어 있다. 추신의 내용은 연시례의 부조로 작은 물고기 한 마리를 보낸다는 것이다. 하지만 부조라 하기에는 너무 작은 것 같아 부끄럽다는 표현도 함께 기술하고 있다. 발급자의 이름 뒤에 등배를 부기한 것으로 보아, 이 편지는 이이연 개인이 보낸 것이 집안을 대표해서 보낸 것으로 보인다.
정명수

상세정보

1814년 11월 7일에 이이연이 광산김씨 설월당 종가에 보낸 편지
[구성 및 내용]
일반적 편지의 형식에서 처음 안부 인사를 묻는 부분은 생략하고 곧바로 편지를 보내는 사연을 적고 있다. 끝 인사를 마친 뒤에는 추록이 부가 되어 있다.
계암 김굉(1577~1641)이 시호를 문정(文貞)으로 받고, 연시례를 시행하게 된 것은 나라와 사림의 경사스러운 일이기에 직접 자리에 참석해야 하지만 자신이 긴요하게 출입할 곳이 있어서 참석하지 못한다는 내용이 편지의 상당부분을 차지한다. 이렇듯 안스러움을 표시하고, 서두에 표현하지 못했던 안부를 묻는다. 마지막으로 예식이 성대하게 치러지기를 바란다는 당부도 잊지 않는다. 추록이 있는데, 내용은 부조로 작은 물고기 한 마리를 보내지만 부조라 하기에 너무 미약하다고 하며 부끄러움을 표현한다. 편지에는 김굉의 호를 계암(溪庵)으로 적고 있는데, 잘못된 기술이다. 암(庵)자를 암(巖)으로 바로잡아야 한다. 발급자 이이연의 이름 뒤에 ‘등배’가 붙어 있는 것으로 보아, 이이연이 자신의 문을 대표해서 보낸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간찰의 내지를 작성할 때는 대체로 처음에 피봉의 너비와 비슷하거나 그 이상되는 부분을 여백으로 비워두고 시작한다. 사연이 짧을 경우 상하좌우의 여백이 그대로 남지만, 사연이 다 끝나지 않을 경우 본문의 상여백에 이어 적고, 그 다음은 시작할 때 남겨 두었던 오른쪽 여백에 이어 적으며, 그 다음은 본문의 행간에 이어 적는다. 이 편지의 경우 중앙에 사연을 기록하고, 발신에 관련된 정보는 처음 부분에 기록하였다. 그리고 추록을 종이의 오른쪽 끝 부분에 기록하고 있다.
[자료적 의의]
한 지역 또는 가문에서 추앙받고 있는 인물이 왕조로부터 시호와 같은 포상을 받았을 때, 지역 사림의 대응 양상을 살필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또한 부조로 물고기 한 마리를 보내고 있는데, 이것은 당시의 부조문화와 부조의 경제적 지표를 살필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다.
유도원(1721~1791)의 『노애집』에 「답외손이이연·미연·보연·무연」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이연은 유도원의 외손이다. 이연의 아버지는 이지순(李之恂)이다. 이지순의 동생인 이지정은 1744년에 출생하였고 46세 되는 해인 1789년에 진사시에 합격하였다는 기록이 《사마방목》에 있다. 이지정의 아버지는 이만굉으로 1704년 출생하여 1725년에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蘆厓集』, 유도원,
정명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14년 이이연(李頥延) 서간(書簡)

先文貞公溪庵先生延
諡之禮隔日鄕邦榮耀士林慶幸
仰惟
僉執事感祝欣忭之情尤當如何
哉平日慕德之忧自謂不後於人初擬
掃萬趍進以爲觀光獻賀計適有
緊切出入恐有不及之歎下情悵缺
曷可容喩近日寒緊
僉動止際玆若何臨紙瞻遡倍
切平昔餘萬臨行忙草只此不備惟
伏冀
縟禮日吉利行而已
甲戌十一月初七日戚下李頥延等拜
一小魚其曰扶助愧仰愧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