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60년 조석우(趙錫愚) 고신(告身)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2+KSM-XA.1760.1100-20100731.023022200012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교령류-고신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정치/행정-임면-고신
작성주체 영조, 조석우
작성지역 서울특별시
작성시기 1760
형태사항 크기: 56.5 X 78.6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상주 승곡 풍양조씨 입재공파종택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760년 조석우(趙錫愚) 고신(告身)
1760년 10월 20일에 영조 임금이 조석우를 통헌대부 행 사헌부지평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관품은 종3품계인 통훈대부이고 관직은 정5품 사헌부지평에 임명된 것으로, 행을 쓴 이유는 행수법에 의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품계가 낮은데 직책이 높은 것을 수라고 하며, 품계는 높은데 직책이 낮은 것을 행이라 한다. 그러나 조석우는 이 문서도 실제로 받지 못한다. 『풍성세고』의 유치명이 지은 조석우의 행장에 의하면, 조석우는 이해 8월에 심한 종기를 앓다가 10월 10일 졸한 것으로 기록 되어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상황은 『영조실록』의 1761년 10월 27일 기사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조석우가 이미 졸하였기에 집안에서 문서를 환납하였는데, 영조는 이 사실을 알고 매우 슬퍼하면서 도신을 시켜서 그 임명장을 다시 그 집에 보내고 부조 등의 절차를 거행하게 했다는 기록이 있다.
『增補版 韓國古文書硏究』, 崔承熙, 지식산업사, 1989
『古文書硏究』 9·10, 鄭求福, 한국고문서학회, 1996
『古文書硏究』 30, 유지영, 한국고문서학회, 2007
『朝鮮朝 監査制度 硏究』, 白相起,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0
『풍성세고』, 趙靖 등, 1921
정명수

상세정보

1760년 10월 20일, 영조조석우통훈대부사헌부지평에 임명하는 문서
내용 및 특징
1760년(英祖 36) 10월 20일에 英祖趙錫愚通訓大夫司憲府持平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조석우는 동년 윤6월 6일에 종5품 평안도도사에 임명된 후 이 때에 와서 관품은 종3품계인 통훈대부, 관직은 정5품 사헌부지평에 임명된다. 그러나 실제로 조석우는 생전에 이 교지를 직접 받지 못하는데, 이는 영조실록1761년 10월 27일 기사를 통해 알 수 있다. 영조思賢閤에 나아가 약방에서 入診할 때, 조석우의 집안에서 이 문서를 조석우의 사후 발급되었다는 이유로 監營에 還納하였다는 말을 듣고는 매우 슬퍼하면서 道臣으로 하여금 그 임명장을 도로 그 집에 보내고 賻助 등의 절차를 거행하게 하라는 명을 내린다. 또한 그 자리에 있던 조석우의 4촌인 注書趙錫穆에게 조석우를 비롯한 嶺南人을 수용하는 이유는 그 지역이 의 고장이기 때문이라고 하면서 조석우에 대한 애정과 신뢰를 드러내고 있다.
사헌부는 時政을 논하고 관리의 비행을 조사하여 규탄하고 백성의 억울한 일이 없도록 살피는 업무를 맡는데, 오늘날의 감사원 기능을 담당했다고 보면 된다. 사헌부의 직임을 원만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높은 정치적 식견과 불의에 타협하지 않고 강개한 언론을 행사할 수 있는 인물이면서 감히 접하기 어려운 威望이 있어야 했다. 때문에 사헌부의 관원으로 임명할 때에는 久任員 여부를 논하지 않고 언론이 강개한 자를 널리 뽑아서 薦望을 하였으며, 內外四祖와 당사자의 痕咎 여부를 상세하게 살핀 뒤에 대간에 채용하였다. 이런 점을 통해 볼 때 조석우지평에 임명한 것은 바로 조석우 개인뿐만 아니라 그 집안까지도 사헌부의 일을 맡기는데 전혀 하자가 없었음을 의미한다. 이미 승정원주서로 있으면서 영조의 강한 신뢰를 얻었으며, 그의 부고를 듣고 오랫동안 슬퍼한 영조의 반응을 통해 조석우가 높은 학식과 강개한 성품 등을 지녔음을 알 수 있다.
이 문서는 臺諫의 署經을 거치지 않고 왕명에 의해 바로 발급하는 임명장으로, 4품 이상의 관원을 임명할 때 쓰인다. 조석우는 관직은 정5품직이지만 관품이 정3품계이기 때문에 5품 이하직에 발급하는 敎牒이 아니라, 4품 이상직에 발급하는 告身을 발급한 것이다. 조석우는 관품이 관직보다 높기 때문에 조선시대 行守法에 따라 ‘行’을 관품 뒤, 관사 앞에 명시하였다.
『풍성세고』권6에 실려 있는 『존성재고』는 조석우의 유집이다. 문집 가운데 유치명이 지은 행장에 의하면, 조석우는 1760년 8월에 심한 종기를 앓다가 10월 10일에 침소에서 졸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增補版 韓國古文書硏究』, 崔承熙, 지식산업사, 1989
『古文書硏究』 9·10, 鄭求福, 한국고문서학회, 1996
『古文書硏究』 30, 유지영, 한국고문서학회, 2007
『朝鮮朝 監査制度 硏究』, 白相起,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0
『풍성세고』, 趙靖 등, 1921
최연숙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60년 조석우(趙錫愚) 고신(告身)

敎旨
趙錫愚通▣(訓)
大夫
司憲府
持平

乾隆二十五年十月二十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