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59년 조석우(趙錫愚) 고신(告身)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2+KSM-XA.1759.1100-20100731.023022200007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교령류-고신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정치/행정-임면-고신
작성주체 영조, 조석우
작성지역 서울특별시
작성시기 1759
형태사항 크기: 56 X 79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상주 승곡 풍양조씨 입재공파종택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759년 조석우(趙錫愚) 고신(告身)
1759년 2월 19일에 영조 임금이 조석우를 조산대부 행 병조좌랑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정종로가 지은 조석우의 「묘갈명」에는 ‘전적이 임명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서 특별하게 병조좌랑에 임명되었다’고 적고 있다. 실제로 조석우는 1월 2일에 정6품 성균관전적에 임명되고, 1월 7일에 종4품 상계인 조산대부에 가자되고, 이 날 병조좌랑에 임명된 것이다. 병조좌랑이라는 직책은 병조 관원들의 인사행정을 담당하는 직책으로 정7품이지만 요직에 해당된다. 품계는 종4품의 상계에 해당되고, 관직은 정7품에 해당되는 직책을 맞게 되었기 때문에 ‘행’이라 쓴 것이다.
『풍성세고』, 趙靖 등, 1921
『增補版 韓國古文書硏究』, 崔承熙, 지식산업사, 1989
『古文書硏究』 9·10, 鄭求福, 한국고문서학회, 1996
『古文書硏究』 30, 유지영, 한국고문서학회, 2007
『經濟史學』2, 宋贊植, 경제사학회, 1978
정명수

상세정보

1759년 2월 19일, 영조조석우조산대부병조좌랑에 임명하는 문서
내용 및 특징
1759년(英祖 35) 2월 19일에 英祖趙錫愚朝散大夫兵曹佐郞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조석우는 동년 1월 2일에 정6품 성균관전적에 임명되고, 1월 7일에 종4품 上階인 조산대부에 가자되고, 이 날 병조좌랑에 임명되었다. 성균관전적병조좌랑은 같은 정7품직이지만 이조병조는 문무관의 인사행정을 담당하였기 때문에 병조좌랑에 임명되었다는 것은 권력의 중심부에 들어선 것을 의미한다. 조석우1759년에 7차례에 걸쳐 고신을 발급받는데 이 문서는 그 중 세 번째 문서이다.
이조병조좌랑正郞과 함께 인사행정을 담당했기 때문에 銓郎이라고 하였는데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淸要職으로 모두 文官을 임명하였다. 이조병조를 포함한 각 조의 정랑좌랑郎官郎廳曹郎이라고도 하였다. 좌랑정랑직에 결원이 생기면 승진하는 게 관례였지만 1431년(世宗 13) 이후에는 특별히 자질이 뛰어난 자로서 당상관들이 추천하는 자에 한하게 하였고, 1436년 이후에는 이것마저 금지해 정랑에의 직접 승진은 불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조석우는 동년 윤6월 3일에 병조정랑에 임명되어 아주 빠른 승진을 한다.
이 문서는 臺諫의 署經을 거치지 않고 왕명에 의해 바로 발급하는 임명장으로, 4품 이상의 관원을 임명할 때 쓰인다. 조석우는 관직은 정6품직이지만 관품이 종4품계이기 때문에 5품 이하직에 발급하는 敎牒이 아니라, 4품 이상직에 발급하는 告身을 발급한 것이다. 조석우는 관품이 관직보다 높기 때문에 조선시대 行守法에 따라 ‘行’을 관품 뒤, 관사 앞에 명시하였다.
『풍성세고』권6 『존성재고』는 조석우의 유고이다. 정종로가 지은 「묘갈명」에는 ‘전적에 제수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서 특별히 병조좌랑에 임명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增補版 韓國古文書硏究』, 崔承熙, 지식산업사, 1989
『古文書硏究』 9·10, 鄭求福, 한국고문서학회, 1996
『古文書硏究』 30, 유지영, 한국고문서학회, 2007
『經濟史學』2, 宋贊植, 경제사학회, 1978
최연숙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59년 조석우(趙錫愚) 고신(告身)

敎旨
趙錫愚朝散
大夫
兵曺佐

乾隆二十四年二月十九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