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618년 이경한(李景漢) 고신(告身)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2+KSM-XA.1618.1100-20100731.042022200113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교령류-고신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정치/행정-임면-고신
작성주체 광해군, 이경한
작성지역 서울특별시
작성시기 1618
형태사항 크기: 47 X 65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경주 양월 경주이씨 양월문중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양월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618년 이경한(李景漢) 고신(告身)
1618년 1월 18일에 광해군의 명령을 받아 이경한을 통정대부 행 경흥도호부사에 임명한 문서이다. 7일전에 절충장군에 임명되었다가 실직인 종3품의 함경도 경흥도호부사에 임명된 것이다. 이 때문에 문반(동반)계의 정3품인 통정대부에 가자된다. 이 이후에도 이경한은 용양위와 도호부사에 교대로 임명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용양위에 임명될 경우는 무반(서반)계인 절충장군이 도호부사일 경우에는 문반(서반)계인 통정대부에 가자된다. 이 문서는 4품이상의 관원을 임명하는 것이기 때문에 대간의 서명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발급되었다.
『경주이씨세보』, 경주이씨종친회,
『역사와 현실』 59, 박재우, 한국역사연구회, 2006
『古文書硏究』 30, 유지영, 한국고문서학회, 2007
『古文書硏究』 31, 박준호, 한국고문서학회, 2007
정명수

상세정보

1618년 1월 18일, 광해군이경한통정대부경흥도호부사에 임명하는 문서
[내용 및 특징]
1618년(光海君 10) 1월 18일에 李景漢을 通政大夫慶興都護府使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이경한은 1월 11일에 무산계로는 가장 높은 정3품 당상관인 折衝將軍에 임명되었다가 7일 뒤에 實職인 종3품 함경도경흥도호부사에 임명되어 문산계 정3품 당상관인 통정대부에 가자된다. 이후 이경한의 지방관 임명 교지를 보면 용양위도호부사에 교대로 임명되는데, 용양위의 관직에 임명될 때에는 무산계인 절충장군의 관품으로, 도호부사에 임명될 때에는 문산계인 통정대부로 임명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경한1599년에 무과에 급제하여 홍패를 발급받은 이후 이때까지 관직 임명 문서가 전하지 않아 그동안의 이경한의 관직 이동 경로를 알 수는 없다. 다만 남아있는 관직 임명 문서 12건 중 10건이 지방관과 西班遞兒職에 임명된 문서인 점을 보면 주로 지방관직을 역임했을 것으로 보인다. 『광해군일기1617년 12월 13일 기사에도 전 郡守이경한에게 實職을 제수하라는 내용이 나온다.
이 문서는 臺諫의 署經을 거치지 않고 왕명에 의해 바로 발급하는 임명장으로, 4품 이상의 관원을 임명할 때 쓰인다. 『경국대전』 禮典에 ‘文武官四品以上告身式’이 규정되어 있다. 문서에는 왕의 고유 임명권한을 밝히는 ‘敎旨’를 첫머리에 쓰고, 본문에 ‘인명+爲+品階+관직+者’의 순으로 임명 내용을 기입한다. 관품과 관직에 차이가 날 경우에는 관직명 앞에 ‘行’과 ‘守’자를 넣어 구분하였다. 마지막에는 행을 바꾸어 중국연호와 발급일을 쓰고 연호 위에 ‘施命之寶’를 찍어 임명당사자에게 발급한다. 이경한은 관품은 정3품계이고, 관직은 종4품직으로 관품이 관직보다 높기 때문에 조선시대 行守法에 따라 ‘行’을 관품 뒤, 관사 앞에 명시하였다.
보물 제1474-1-13호로 국가지정문화재이다.
『경주이씨세보』에 의하면, 이경한은 이홍(李洪)의 차남으로 백부 이진(李津)에게 출계하여 후사를 이었다. 자는 비용(丕容)이고, 가정 경신에 출생하여 숭정 경인에 91세의 나이로 졸했으며, 아들은 이상일(李尙一), 손자는 이구징(李耉徵)이다.
『역사교육』 30․31, 李存熙, 역사교육연구회, 1982
『增補版 韓國古文書硏究』, 崔承熙, 지식산업사, 1989
『古文書硏究』 9·10, 鄭求福, 한국고문서학회, 1996
『古文書硏究』 30』, 유지영, 한국고문서학회, 2007
최연숙

이미지

원문 텍스트

1618년 이경한(李景漢) 고신(告身)

敎旨
李景漢
政大夫

興都護府使


萬曆四十六年正月十八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