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564년 이홍(李洪) 고신(告身)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2+KSM-XA.1564.1100-20100731.042022200106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교령류-고신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정치/행정-임면-고신
작성주체 이홍, 이조
작성지역 서울특별시
작성시기 1564
형태사항 크기: 49 X 72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경주 양월 경주이씨 양월문중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양월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564년 이홍(李洪) 고신(告身)
1564년 2월 1일에 이조에서 명종임금의 명령을 받아 중추부녹사 학생 이홍을 종9품 장사랑 전연사참봉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녹사는 품계를 지닌 녹사와 품계가 없는 녹사로 구분되는데, 이홍이 종9품에 임명된 것으로 보아 품계가 없는 녹사로 일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초기에는 녹사를 사족의 자제에서 선발하였는데, 담당 업무는 문서의 취급과 기록, 연락과 대신의 명령을 받아서 문서의 전달이나 구두 연락을 하는 잡무를 담당하였다. 전연사는 공조 산하의 관서로 궁궐을 청소하는 등의 일을 하는 곳이다. 이 문서는 이조참의와 이조정랑 2명이 참여해서 발급되었는데, 당시의 이조참의는 목첨이고, 이조정랑은 윤두수였다.
『경주이씨세보』, 경주이씨종친회,
『경주이씨양월문중』, 한국국학진흥원, 2009, 성심
『진단학보』 71, 한우근, 진단학회, 1981
정명수

상세정보

1564년 2월 1일, 이조에서 왕명을 받들어 중추부녹사 학생 이홍장사랑전연사참봉에 임명하는 문서
내용 및 특징
1564년(明宗 19) 2월 1일에 이조에서 왕명을 받들어 中樞府錄事 學生 李洪을 종9품 將仕郞典涓司參奉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조선시대에는 文科, 武科, 蔭職을 통해 관직에 진출하였는데 초기에는 그 외에도 胥吏取才를 통해 임용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홍이 바로 그런 경우로, 이홍은 無品인 錄事職을 거쳐 종6품 宗簿寺主簿에까지 올랐다.
녹사조선시대 중앙 관서의 상급 胥吏職으로, 의정부중추부에 나뉘어 소속되었으며, 문반의 관부에는 의정부에서, 무반의 관부에는 중추부에서 나누어 파견하였다. 조선초기에 녹사는 8~9품의 품계를 지닌 녹사와 품계가 없는 녹사로 구분되었는데 이홍은 이때에 와서 종9품 장사랑전연사참봉에 임명된 것을 보면 품계가 없는 녹사로서 일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초기에는 녹사가 士族의 자제에서 선발되었으며, 주로 하는 일은 문서의 취급과 기록 및 연락 업무를 담당하거나 대신의 명을 받아 공문서의 전달이나 구두 연락의 업무 및 기타 잡무를 담당하였다. 전연사조선시대 공조 산하의 관서로 궁궐을 청소하며 영선을 관장하였다.
이 문서는 5품 이하의 문무관원에게 발급되는 敎旨이다. 4품 이상이 臺諫의 署經을 거치지 않고 왕명에 의해 바로 임명되는데 비해, 5품 이하 9품까지는 대간의 서경을 거쳐 이조, 병조에서 왕명을 받들어 발급한다. 문서식도 4품 이상관원에게 발급하는 것과는 다르며, 문서 발급에 있어서 착명은 이조병조의 당상관과 낭관 각 1인이 하였다. 이 문서의 발급에는 이조참의이조정랑 2명이 참여하였는데 당시 이조참의睦詹이고, 이조정랑尹斗壽이다.
보물 제1474-1-6호로 국가지정문화재에 등록되었다. 『경주이씨세보』에 의하면, 이홍의 5대조는 한성판윤을 지낸 이지대(李之帶)로 경주에 낙향하여 불국사 남쪽에 터전을 잡았으며, 할아버지 이형림(李亨林)은 안강에 처음 자리를 잡았다. 아버지는 이수광(李秀光)으로, 자는 희고(希古)이고 배위는 도안안씨 안숙량(安淑良)의 딸, 계배는 영양이씨 진사 이예원(李禮元)의 딸이다. 형은 이연(李淵), 이진(李津), 이항(李沆)이고, 동생은 이급(李汲)이다. 4남 1녀를 두었는데, 둘째 아들을 형 이진(李津)에게 보내 후사를 잇게 하였다.
『東亞文化』 10, 한영우,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1971
『增補版 韓國古文書硏究』, 崔承熙, 지식산업사, 1989
『古文書硏究』 9·10, 鄭求福, 한국고문서학회, 1996
『古文書硏究』 30, 유지영, 한국고문서학회, 2007
『古文書硏究』 31, 박준호, 한국고문서학회, 2007
최연숙

이미지

원문 텍스트

1564년 이홍(李洪) 고신(告身)

吏曹嘉靖四十三
二月初一日奉
中樞府錄事
李洪將仕
典涓司參奉
嘉靖四十三年二月日
世職慶州
行判書
參判
參議[押]
正郞[押]
佐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