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546년 이파(李坡) 추증교지(追贈敎旨)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2+KSM-XA.1546.1100-20100731.002322200015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교령류-고신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정치/행정-임면-고신
작성주체 명종, 이파
작성지역 서울특별시
작성시기 1546
형태사항 크기: 51 X 90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가송 영천이씨 농암종택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가송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546년 이파(李坡) 추증교지(追贈敎旨)
1546년 11월 2일에 자헌대부 지중추부사인 이현보의 증조이면서 조산대부 행 의흥현감을 지낸 이파를 통정대부 병조참의에 추증하는 문서이다. 『경국대전』에는 종친 및 문․무관원으로서 실직이 2품 이상인 자는 그의 3대를 추증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추증은 부모는 자신이 받은 품계와 동일하게 하며, 조부와 증조부는 각각 한 단계씩 낮춰서 하였다. 이현보가 정2품 하계인 자헌대부에 임명됨으로써 그의 부는 동일한 품계를, 조부는 종2품계를, 증조부는 정3품계를 받게 된 것이다. 이것은 이현보의 행장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이황이 지은 「행장」에는 “증조의 휘는 파인데 의흥현감이며 통정대부 병조참의로 증직되었고, 조부의 휘는 효손인데 통례문봉례이며 가선대부 이조참판으로 증직되었고, 아버지의 휘는 흠인데 인제현감이며 자헌대부 의정부좌참찬으로 증직되었고 어머니는 정부인 권씨로 증직되었다.”로 기록되어 있다. 이현보는 1546년 이후에도 관직은 지중추부사에 머물렀지만, 품계는 계속해서 높여진다. 정헌대부를 거쳐 종1품하계인 숭정대부에 이르게 되는데, 실직이 지중추부사에서 변동이 없었기 때문에 조상에 대한 추증교지도 더 이상 없는 것이다.
정명수

상세정보

1546년 11월 2일에 자헌대부지중추부사이현보의 증조인 조산대부의흥현감李坡통정대부병조참의에 추증하는 문서
[내용 및 특징]
1546년(明宗 1) 11월 2일에 資憲大夫知中樞府事李賢輔의 曾祖인 朝散大夫義興縣監李坡通政大夫兵曺參議에 추증하는 문서이다. 『경국대전』에는 추증과 관련해서 “宗親 및 文官․武官으로서 實職 2품 이상인 자는 그의 父祖 三代를 추증한다. 부모에게는 그의 품계를, 조부모 및 증조부모에게는 그의 품계에서 각각 1품씩을 순차로 강등하여 추증한다. 사망한 처에게는 남편의 직품을 좇아 추증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현보가 정2품 하계인 자헌대부에 임명됨으로 인해서 그의 부는 동일한 품계에, 조부는 1단계 낮은 종2품계에, 증조부는 2단계 낮은 정3품계에 각각 임명한다는 것이다. 문서에는 추증하는 근거를 밝히고 있는데, 연호 왼쪽에 작을 글씨로 쓰여진 “依大典追贈”이 그것이다.
이현보의 문집을 통해서도 추증의 기록을 살필 수 있다. 이황이 지은 이현보의 「행장」에는 그 선대를 각각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증조의 휘는 인데 의흥현감이며 通政大夫兵曹參議로 추증되었고, 조부의 휘는 孝孫인데 통례문봉례이며 嘉善大夫吏曹參判으로 추증되었고, 아버지의 휘는 인데 인제현감이며 資憲大夫議政府左參贊으로 추증되었고 어머니는 貞夫人權氏로 추증되었다.”가 그것이다.
영천이씨 농암종택 고문서로 국가지정문화재에 보물 제1202(1-15)호에 등록되었다.
이현보의 행장은 지은 이황은 이즈음의 상황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 ‘1546년으로부터 이제까지 3년동안 휴가를 청하고 목욕하기를 청하여 기어이 물러가려고 하였으니 사례에 따라 명예를 바라는 자와 가히 비하여 말할 바가 아니었다. 이로부터 집에 살기를 14년 동안에 嘉善을 거쳐 資憲, 正憲으로 승급되어 崇政에 올랐으니 직함은 항상 지중추부사를 띠었다. 몸은 떠나 물러 나왔으나 벼슬은 올라갔으니 물러나 있는 공이 조정의 직함을 어찌 바랐겠는가. 아마 어찌할 수가 없어서 그렇게 되었을 것이다.’ 관직은 1543년에 임명된 지중추부사에 그대로 머물렀지만, 품계는 종1품하계인 崇政大夫에 이른 것이다. 선대에 대한 추증도 이현보의 관직이 그대로인 상태에서 품계만이 높여졌기 때문에 이 문서가 마지막이다.
『增補版 韓國古文書硏究』, 崔承熙, 지식산업사, 1989
鄭求福, 『古文書硏究』 9·10, 한국고문서학회, 1996
원창애, 『朝鮮時代史學報』 43, 2007
『聾巖先生文集』, 이현보,
정명수,최연숙

이미지

원문 텍스트

1546년 이파(李坡) 추증교지(追贈敎旨)

敎旨
資憲大夫知中樞府
李賢輔曾祖
朝散大夫
義興縣監李坡
通政大夫兵曺
參議

嘉靖二十五年十一月初二日
大典追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