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63년 우계서당회중(迂溪書堂會中) 통문(通文)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1+KSM-XF.1963.4717-20090831.002326000014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사회-조직/운영-통문
작성주체 우계서당회중, 청암공댁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녹전면 원천리
작성시기 1963
형태사항 크기: 24 X 45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가송 영천이씨 농암종택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가송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963년 우계서당회중(迂溪書堂會中) 통문(通文)
1963년 11월 이철연 외 45인 등이 도산의 농운정사를 보수하기 위해 청암공댁에 보낸 통문이다. 농운정사는 이황선생께서 학생들과 학문을 닦던 곳인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쇠락해져 이 곳을 보수하자고 하였다. 이어서 일의 처리는 자신들에게 맡기고 여러 문중들은 돈을 추렴해 달라고 하였다.
1차 작성자 : 김인호

상세정보

1963년 11월 李喆淵 외 45인 등이 도산의 隴雲精舍를 보수하기 위해 靑巖公宅에 보낸 통문
1963년 11월 李喆淵 외 45인 등이 도산의 隴雲精舍를 보수하기 위해 靑巖公宅에 보낸 통문이다.
이 통문을 작성하게 된 것은 도산의 隴雲精舍는 대대로 이황선생이 及門諸賢들과 학업을 익히던 곳이었는데 세월이 오래되어 건물이 쇠락하게 되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지난번 정부에서 수리할 비용을 주어 정사와 담장은 새롭게 고쳤으나 本孫께서 정사를 고치자고 하여 논의가 이루어졌다고 하였다. 자신들이 정사와 거리상 가깝고 일을 처리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고 있으니 이와 관련된 일은 자신들에게 맡기고 여러 집안에서는 돈을 추렴하여 큰 일을 도와달라고 부탁하였다.
농운정사는 도산서원 서쪽에 위치한 학생들의 숙소로 1561년 완성하였다. 퇴계 이황 선생이 제자들에게 공부에 열중하기를 권장하는 뜻에서 한자 工자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으며 동쪽 마루를 時習齋, 가운데 온돌방을 止宿寮, 서쪽 마루를 觀瀾軒이라고 부른다. 통문의 작성자 중 이희욱(1894~1974)은 본관은 영천, 자는 國瑞, 호는 忍堂으로 權相翊의 문인이다. 저서로는 『芝南世稿』가 있다.
이 편지는 가문에 중대한 일이 있을 때 가문의 여러 지파들이 모여 일을 처리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특히 조선후기에는 공의라고 하여 어떠한 일이 발생하였을 때 모여서 의견을 교환하고 일을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통문도 공의를 표현하는 하나의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1차 작성자 : 김인호

이미지

원문 텍스트

1963년 우계서당회중(迂溪書堂會中) 통문(通文)

靑巖公宅。

通文。
右通諭事。伏以陶山隴雲精舍。卽我退陶
子當日所命築。而爲及門諸賢。寢處肄業之所也。
歲月旣久。楹礎傾頹。勢所不免。而頃自政府辦送
修院之費。院宇與墻垣。一時改新。繼而有本孫之
方營是舍改築之論。則顧我及門之裔。亦自家祖
先之遺芬芳躅。於斯在焉。咳唾影響。於斯可尋。其
不重且大歟。推之師門後承。垂手傍觀。似非體先
之道。鄙等。居在接壤。而措事詳悉。故。今玆發文。仰
告。惟願各省淵源諸家。醵出誠資。相助大役。以待
落成之日。而莫辭遠邇之勞。一心齊會。講得百世
之誼。千萬千萬。
癸卯 十一月 日。
迂溪書堂會中。會員 李喆淵全奎德宋雲翼李羲頊李羲升金贊秀全在鉀李羲益金晉秀李發淵李裕鶴全奎夏金思憲李羲坤全泗烈宋漢翼全在鑰李有春全桂鉉全永粲李羲兌全永佐李羲潤李羲乾李有曾李祚淵全永佾全奎元李羲漸金學秀金思吉金思烈全永萬全重煥全瑀錫李有長全永得金昶基全永稙全奎洪宋尙煥宋春煥宋魯欽金碩基宋永夏李範九。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