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97년 김달영(金達永) 외 3인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1+KSM-XF.1897.4792-20090831.001525700174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김달영, 김조영, 김호영, 김진영
작성지역 경상북도 봉화군
작성시기 1897
형태사항 크기: 23.4 X 50.2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오미 풍산김씨 허백당종택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97년 김달영(金達永) 외 3인 서간(書簡)
1897년 4월 4일에 김달영(金達永) 외 3인이 학호(鶴湖) 김봉조(金奉祖)의 신도비를 세우는 일에 축하를 하고 부조를 보내기 위해 보낸 편지이다. 학호 공의 신도비를 세우는 일은 수백 년 동안 하지 못했던 일이었고, 이제 성사된 것은 상대 측 여러분들의 정성과 효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라고 하며 축하하였다. 그러나 김달영 등은 각자 늙고 병이 나서 가지 못하고, 대신 한 젊은이를 보낸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성대한 의식을 잘 치르기를 바라고 있다.
1차 작성자 : 김동현

상세정보

1897년 4월 4일, 金達永 외 3인이 鶴湖 金奉祖의 신도비를 세우는 일에 축하와 부조를 보내기 위해 五美洞의 豊山金氏측에 보낸 편지
1897년 4월 4일에 金達永 외 3인이 鶴湖 金奉祖의 신도비를 세우는 일에 축하와 부조를 보내기 위해 五美洞의 豊山金氏측에 보낸 편지이다.
처음 상대의 안부를 물은 후 先先生 학호 김봉조 공의 묘도의 신도비를 세우는 일을 언급하였다. 이렇게 수백 년 동안 하지 못했던 일이 이루어진 사실은 상대 측 여러 존자들의 성효가 평소보다 뛰어난 일이었기 때문이라고 치하하였다. 그러나 김달영 등은 가서 일을 도와야 하나 각기 노쇠하고 병이 나서 가지 못하고, 대신 한 젊은이를 보낸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성대한 의식을 잘 치르기를 바라고 있다.
이 편지는 의성 김씨 문중과 풍산 김씨 문중과의 혼반관계 또는 교유관계를 보여주는 자료이다. 안동 지역의 여러 명문가 가운데 특히 이 두 문중은 비록 선현은 다르다고 하더라도 영남의 유림으로서 큰 선현을 기리는데 아낌없이 지원을 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그 당시 사회에 유림활동과 문중활동이 거의 일치되어 나타나는 양상을 보여주는 단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편지는 마을사나 미시사 분야로 가치가 있는 문서가 될 수 있다.
金達永(1828~?)은 자는 應三, 호는 竹南, 본관은 義城이다. 부친은 建銖이다. 1852년 式年試 2등으로 진사에 합격하였다. 金祖永(1829~1904)은 자는 永孝, 호는 惺寰, 본관은 의성이며, 부친은 基銖, 奉化에 거주하였다. 金聲久의 후손으로 柳致明의 문인이다. 1880李晩孫, 金錫奎, 金鎭淳 등과 함께 척사만인소를 전개하기도 하였다. 金浩永(1831~1914)은 자는 元直, 호는 日春齋, 본관은 의성이며, 부친은 綱銖이다. 봉화에 거주하였다.
본문에 소개 된 신도비의 주체인 김봉조는 자는 孝伯, 호는 鶴湖, 본관은 豊山이다. 부친은 大賢이다. 1601년 진사에 입격하고, 1613년 增廣試 갑과로 문과에 급제하였다. 이후 成均館典籍, 司憲府監察, 丹城縣監, 禮曹正郞, 司憲府持平 등을 역임하였다.
1차 작성자 : 김동현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97년 김달영(金達永) 외 3인 서간(書簡)

伏惟維夏。
僉體動止萬重。
先先生鶴湖公墓道竪碣之擧。
乃是數百年未遑之事。苟非
僉尊誠孝之出尋常萬萬。何能
如是竭蹶就成也。仰爲之感賀
匪量。生等。揆以事契。卽當奔
走。相役於衆賓之末。而各汨衰
病。末由遂誠。替送一少。愧恨何
喩。餘惟冀
縟儀利成。以副遠忱。不備。伏惟
僉照。謹拜狀上。
丁酉 四月 初四日。金達永 金祖永 金浩永 金震永 等 拜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