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97년 이교영(李敎榮)외 2인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1+KSM-XF.1897.4777-20090831.001525700029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교영, 이수악, 이수숭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작성시기 1897
형태사항 크기: 44.5 X 22.5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오미 풍산김씨 허백당종택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97년 이교영(李敎榮)외 2인 서간(書簡)
1897년 4월 4일, 이교영, 이수악, 이수숭이 학호 김봉조 선생의 묘도비를 완성하는 자리에 참석하지 못해 죄송하다는 뜻으로 보낸 편지이다. 학호 선생의 묘도비를 세우는 것은 사림의 큰 영광이지만 자신들은 병에 걸리고 선조의 표갈을 세우느라 그 자리에 가지 못할 것 같다고 하며 대신 젊은이 한 명과 돈 3냥을 보낸다고 하고 있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1차 작성자 : 김인호

상세정보

1897년 4월 4일, 이교영 외 2인이 김봉조선생의 묘도비를 세우는 자리에 참석하지 못해 죄송하다는 뜻으로 보낸 편지
내용 및 특징
1897년 4월 4일, 李敎榮, 李壽岳, 李壽嵩이 학호 金奉祖 선생의 묘도비를 완성하는 자리에 참석하지 못해 죄송하다는 뜻으로 보낸 편지이다.
편지의 첫머리에서는 학호金奉祖 선생의 묘도비를 세우는 것은 호남의 사림에 있어 큰 영광이고 이 일이 성사되도록 노력을 한 후손들의 정성을 찬양하고 있다. 또한 상대방의 건강과 안부를 묻고 묘도비를 세우는 일은 잘 준비되고 있는지를 궁금해 하며 자신들은 병에 걸리고 선조의 표갈을 세우느라 정신이 없어 묘도비가 완성되는 자리에 가지 못해 죄송하다고 하고 있다. 다만 대신 젊은이 한 명과 돈 3냥을 보낸다고 하며 편지를 마치고 있다.
발급인인 李壽岳(1845~1927)은 자는 致崇, 호는 于軒, 본관은 載寧이다. 李徽逸의 후손이며 부친은 李聃榮 이다. 어려서부터 경전에 밝았으며 1886년 흥선대원군의 유폐와 관련된 상소를 올렸다가 함경북도 明川으로 귀양을 갔다. 그 후 1895년 을미사변때 여러 곳에 통문을 돌려 의병을 일으킬 것을 촉구하였으며, 1896년에는 盈德寧海 지역의 의병장으로 활약하였다. 1908년에 갈암 李玄逸선생의 작위를 회복하고 시호를 받는데 기여하였고 한일병합 후에 집안의 농장이 있는 石保에 于石軒이라는 집을 짓고 은거한다.
이 편지는 풍산김씨 문중과 재령이씨 문중과의 교유관계와 조상을 높이는 당시의 시대상황을 알 수 있다. 영남지역에서는 19세기 활발하게 조상문집이 간행되고 조상의 묘소를 정비하는 사업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학호집 또한 서문·발문이나 刊記가 없어 그 간행경위나 연대를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부록에 柳奎가 쓴 행장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19세기 초 간행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학호 선생의 묘도비를 세우는 일 또한 자신의 선조를 높이는 사업의 연장선인 것이다.
안동 지역의 여러 명문가 가운데 특히 이 두 문중은 비록 선현은 다르다고 하더라도 영남의 유림으로서 큰 선현을 기리는데 아낌없이 지원을 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작게는 문중 단위로서, 크게는 영남 유림으로서, 그 당시 사회에 유림활동과 문중활동이 거의 일치되어 나타나는 양상을 보여주는 단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편지는 마을사나 미시사 분야, 특히 민속학 방면으로도 가치가 있는 문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1차 작성자 : 김인호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97년 이교영(李敎榮)외 2인 서간(書簡)

伏承
僉亦諭
外先祖鶴湖先生墓道顯刻
始豎於百年。未遑之後揄揚
大筆。輝映山門。仰認
僉尊追遠之誠。不勝欽聳。此際
僉起居衛重。將事節次如禮
利就耶。戚等各汨衰病。無足遠
聞者。近營累世表碣。琢磋輪運之
役。日事奔走。今於告成之席。未得
齊赴以參。祇送一年少。若塞者然
罪傀殊切耳。不備伏惟
僉察。
丁酉 四月 初四日。李敎榮 李壽岳 李壽嵩 等。

參兩錢畧備助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