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년 4월 6일 정문규(鄭文逵) 외 1인이 미상의 수신자에게, 학호(鶴湖) 김봉조(金奉祖) 선생의 묘도(墓道) 입석(立石)의 일에 직접 참석하지 못하게 된 사정을 전하면서 돈 2민을 보낸다는 편지
1897년 4월 6일 정문규(鄭文逵) 외 1인이 미상의 수신자에게, 학호(鶴湖) 김봉조(金奉祖) 선생의 묘도(墓道) 입석(立石)의 일에 직접 참석하지 못하게 된 사정을 전하면서 돈 2민을 보낸다는 편지이다.
백 년 동안 이루지 못했던 학호(鶴湖)선생 묘도(墓道) 입석(立石)의 일을 축하하면서 법도대로 일을 마치도록 두 손 모아 기원하였다. 이어 자신 등은 남보다 먼저 달려가야 하지만 마침 제사 일이 겹쳐 몸을 빼낼 틈이 없다고 사정을 전했다. 지금과 옛적을 살펴보면 죄스럽지만 용서해 주는 것이 어떻겠느냐고 하면서 일상적인 끝 인사로 마무리 하였다.
학호(鶴湖)는 김봉조(金奉祖, 1572~1630)의 호이다.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효백(孝伯)이다. 1601년 진사에 합격하고, 1613년 증광시(增廣試) 갑과로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 정랑(禮曹正郞)과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역임하였다. 임진왜란 때 곽재우(郭再祐) 휘하에서 화왕산성 전투에 참여하였다. 저서로는 『학호집(鶴湖集)』이 전한다.
1차 작성자 : 정재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