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년 4월 7일, 배근모 외 2인이 학호 선생의 묘도비 건립을 축하하기 위해 보낸 편지
1897년 4월 7일에 裵近模 외 2인이 鶴湖 金奉祖(1572-1630) 선생의 묘도비를 세우는 일을 축하하기 위해 보낸 편지이다.
먼저 초여름 중의 상대 집안사람들의 안부를 물으면서 그리운 마음을 표하고, 상대의 선조인 학호 김봉조 선생의 묘도비를 오랜 세월 동안 겨를이 없어서 세우지 못했는데 이제야 세우게 된 것에 대해 축하의 말을 전하였다. 이어서 자신들이 직접 가서 참석해야 하지만 사정상 한 두 명의 사람만 보낸다고 하면서 의식을 잘 행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전하였다. 끝으로 부조금으로 돈 1냥을 보낸다는 추신을 덧붙이면서 편지를 마무리하였다.
이 편지에서 언급된 학호 선생은 김봉조로, 자가 孝伯, 호가 鶴湖, 본관이 豊山이며, 金大賢의 아들이다. 柳成龍과 鄭逑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1601년 사마시에 합격하고 1613년 증광문과 갑과로 급제하여 예조정랑·사헌부지평·성균관직강·제용감정 등을 역임하였다. 영남에서 文名을 떨쳐 많은 후학들을 배양하였으며, 저서로는 『鶴湖集』이 전한다. 영천 鷗湖書阮에 제향 되었다.
이 간찰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회문의 형식을 취하지는 않았다. 다만, 우측에 여백을 많이 남기고 내용을 쓰기 시작하여 상하의 여백은 그대로 남겨두고 우측 여백으로 돌아가서 부조금 1냥을 보낸다는 내용의 추신을 이어적어 끝맺음하였다. 그리고 문장 중에서 僉體, 先先生 등의 부분에서는 대두법을 사용하여 행을 바꾸고 극행으로 올려 적어 상대에 대한 존경을 표하고 있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1차 작성자 : 서진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