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97년 이재덕(李在悳)외 3인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1+KSM-XF.1897.4717-20090831.001525700123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재덕, 이택하, 이택륜, 이택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
작성시기 1897
형태사항 크기: 22.2 X 48.4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오미 풍산김씨 허백당종택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97년 이재덕(李在悳)외 3인 서간(書簡)
1897년 4월은 풍산 김씨 문중에서 조상인 鶴湖 金奉祖의 묘도비를 세우고, 이를 고하는 제사를 지낸 시기이다. 이 편지는 예안 이씨 문중 사람들이 이를 축하하기 위해 보낸 것이다. 그 내용은 오랫동안 시행하지 못한 묘도비 건립은 우리 사림의 공동의 일이기 때문에 참석해야하지만, 잡일에 얽매어서 참석 못하여 죄송스럽다는 것이다. 대신 일을 도울 젊은이 한두 명과 동전 1냥을 보내었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1차 작성자 : 명경일

상세정보

1897년 4월 7일, 이재덕 외 3인이 김봉조선생의 묘도비를 세우는 자리에 참석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보낸 편지
1897년 4월 7일, 李在悳李宅厦李宅倫李宅敎이 풍산 김씨 문중 어른에게 보낸 편지로서, 鶴湖 金奉祖의 묘도비를 세우고 이를 고하는 의식에 참석하지 못한다는 내용이다.
첫 머리에는 초여름의 안부를 주고받았다. 오랫동안 하지 못했던 사업인 鶴湖 金奉祖 선생의 묘도비 건립은 우리 사림들의 공동의 일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마땅히 자신들도 달려가 자리에 참석해야하지만, 잡일에 얽매어 정성을 드릴 수 없음을 죄송스러워 하고 있다. 대신 일을 도울 집안의 젊은이 한두 명을 보내며, 제사를 잘 치르기 바란다면서 편지를 마치고 있다. 그리고 말미에 약소하게 동전 1냥을 보낸다는 말을 덧붙였다.
이 편지는 피봉이 남아있지 않아 정확한 수취인은 알 수 없다. 발신인의 이름에서 보이는 항렬자 '宅'자를 보면, 발신처는 당시 안동에 살던 禮安 李氏 집안으로 보인다. 1897년 4월은 풍산 김씨 문중에서 鶴湖 金奉祖의 묘도비를 건립한 시점으로, 안동을 포함한 여러 지역에 있는 가문에서 이를 축하하는 편지를 보내왔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1차 작성자 : 명경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97년 이재덕(李在悳)외 3인 서간(書簡)

伏惟肇夏。
僉體動止萬重。仰慰區區。第等
各保劣狀已。第
先生墓道改竪鐫碣。出於積歲
未遑。則吾林同事之地。卽當奔走
晉參於虔告之席。而各汨憂冗。莫
遂鄙忱。替送一二門哥。只增慊歎
謙歎。餘唯冀祀事利行。不備狀禮。
尊察。
丁酉 四月 初七日。李在悳 李宅厦 李宅倫 李宅敎等 拜拜。

靑銅壹緡。汗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