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년 4월 6일, 金鎭軾 외 3인이 鶴湖선생의 묘도비 건립을 축하하기 위해 보낸 편지
1897년 4월 6일에 戚末 金鎭軾 외 3인이 鶴湖 金奉祖(1572-1630) 선생의 묘도비를 세우는 일을 축하하기 위해 보낸 편지이다.
편지 내용에는 먼저, 초여름 중의 상대방 사람들의 안부를 묻고 이어서 이 편지를 쓴 목적이라고 할 수 있는 학호선생 묘도비 건립을 치하하는 말을 전하고 있다. 상대방의 선조인 학호 김봉조 선생의 묘도비를 건립하는 일은 사문의 큰 일이라고 하면서 선조를 추모하는 정성과 일을 주관하는 민첩함에 대해 공경의 말을 전하였다. 자신들도 서둘러 달려가서 의식에 참석해야 하지만 각각 근심에 빠져있어서 갈 수 없으니, 인척으로서 몹시 부끄럽다고 하였다. 이외에도 의식을 잘 치르기를 바란다고 하면서 추신으로 正峴公所에서 2냥을 보낸다는 내용의 첨지를 위에 덧붙였다.
이 편지에서 언급된 학호선생은 김봉조로, 자가 孝伯, 호가 鶴湖, 본관이 豊山이며, 金大賢의 아들이다. 柳成龍과 鄭逑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1601년 사마시에 합격하고 1613년 증광문과 갑과로 급제하여 예조정랑·사헌부지평·성균관직강·제용감정 등을 역임하였다. 영남에서 文名을 떨쳐 많은 후학들을 배양하였으며, 저서로는 『鶴湖集』이 전한다. 영천 鷗湖書阮에 제향되었다.
편지를 보낸 金鎭軾·金瑞洛·金泳植·金旭秉은 자신들을 戚末이라고 칭한 것으로 보아 편지를 받는 사람과 인척 관계임을 미루어 알 수 있다. 4인 중의 한 명인 金瑞洛(1840-1917)은 자가 瑞五, 본관은 義城이다. 金鎭源의 아들로 安東에서 거주하였으며, 1870년 式年試 3등으로 생원에 합격하였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1차 작성자 : 서진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