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82년 이규연(李揆淵)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1+KSM-XF.1882.4777-20090831.002325700397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규연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작성시기 1882
형태사항 크기: 21.5 X 39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가송 영천이씨 농암종택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가송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82년 이규연(李揆淵) 서간(書簡)
상대방의 편지를 받아 얼굴을 마주대한 듯 반갑다고 하면서, 조섭중인 상대방과 모친상을 ㄹ당한 그 아들의 안부를 물었다. 자신은 오른쪽 손가락이 마비되었다가 겨우 조금 나아졌으며, 두 사돈의 상이 난 일과 소정(巢亭)에 투장이 든 일, 앞집에 조매(祧埋: 5대가 되어 신주를 무덤 앞에 묻는 일)하는 일 등을 전하였다. 약속했던 물건은 손가락이 아픈 이유로 손을 대지 못하다가 지금 거의 완성했지만 장책(粧冊: 책을 꾸며 만듦)하는 것은 지체될 것 같다고 하였다. 족보 일은 자신처럼 식견이 고루한 사람이 감당할 바가 아니라고 하면서 일을 지연되고 있는 것을 탄식하였다. 그리고 농사의 상황도 병자년 보다는 조금 낫지만 텅텅 빈 것이 병자년보다 더 심하여 괴롭다고 하였다.
1차 작성자 : 서진영

상세정보

1882년 2월 24일, 李揆淵이 약속한 일이 지연될 것 같다고 알리기 위해 보낸 편지
1882년 2월 24일에 李揆淵이 약속한 일이 지연될 것 같다고 알리기 위해 보낸 편지이다.
지난해 이즈음에 여러 밤 함께 나란히 잤던 일을 이야기 하면서, 그리운 마음이 간절하지 않은 날이 없으며 지금 다시 생각해보니 한바탕 꿈과 같다고 하였다. 상대방이 이렇게 멀리서 편지를 보내주어서 여러 번 읽어보니 마치 백리 떨어져 있는 상대방의 얼굴을 마주대한 것 같다고 하였다. 받은 편지를 통해서 2월에 조용히 몸을 조섭하는 생활이 아직도 진작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 이는 분명히 지난겨울에 추위로 인해 생긴 것으로 연로한 자에게는 예사로 있는 일이니 괴이할 것이 없다고 하였다. 모친상을 당한 상대방의 아들이 春峽(春陽)에 간 것은 그 사이에 아마도 돌아왔을 것이라고 하면서, 각 집의 안부도 예전과 같은지 물었다. 老從인 자신은 가을겨울 이후부터 비록 앓아눕지는 않았지만 병이 잘 더치니 이것은 상례적인 일임을 알겠다고 하였다. 그리고 오른쪽 손가락 두 마디에 이유 없이 마비가 온 것이 거의 서너 달 남짓이다가 지금 겨우 조금 나아졌으며, 또 의 두 사돈 상이 뜻밖에 나서 한창 장례를 준비하고 있지만 여러 가지 수응에 또 한 번 어지러우니 어찌 세상을 살아갈 재미가 있겠느냐고 하였다. 어린 손자는 비범한 모습이 사랑스러울 만한데, 그의 어미를 따라 지금 眉山에 있으니 매번 눈에 삼삼하다고 하면서, 일을 치른 뒤에 즉시 내려올지 모르겠다고 하였다. 巢亭에 투장이 든 일은 파가는 것이 기한이 없을 것 같으니 참으로 한심스럽고 분함을 어떻게 설욕해야 하겠느냐고 하였다. 앞집에 祧埋하는 날짜를 정한 것이 머지않아 있으니 마땅히 제사지내는 말석에 한두 명이 가서 참석해야 하지만 자신의 아우도 일흔 노인이고, 갑자기 말을 타고 하인을 거느리는 것을 마련할 수 없는데 도보로 험한 고개를 가는 것은 뜻을 내지 못할 것 같다고 하였다. 먼 곳에 있는 것에 연좌되니, 다만 슬픈 마음만 더할 뿐이라고 하였다. 약속한 물건은 손가락 끝이 여러 달 아픈 것 때문에 아직도 손을 대지 못했다고 하였다. 지금은 거의 완성하는 데에 이르렀다고 이를 만하지만 粧冊하는 것은 지체되어서 이렇게 믿을만한 인편이 들렸지만 끝내 부쳐 보내지 못했으니 한스럽다고 하였다. 편지지를 부쳐 오는 것도 지금 인편이 좋을 것 같지만 이미 과행하지 못했으니 훗날 신실하게 전할 인편을 기다리는 것도 무방할 것이라고 하였다. 족보의 일은 일이 중대하여 자신처럼 식견이 고루한 사람이 감당할 바가 아니니 護軍公이 세상에 있을 때 도모하지 않은 것이 한스럽고, 지금은 또 질질 끌고 있으니 어찌 탄식스럽지 않겠느냐고 하였다. 농사의 상황은 병자년 보다는 조금 낫지만 텅텅 빈 것이 병자년보다 더욱 심하다고 하면서, 백성들이 도탄에 빠지는 것이 늙어갈수록 더욱 심하니 참으로 괴롭다고 하였다.
이 편지의 발급자인 揆淵의 생몰년 및 이력은 자세히 알 수 없다. 다만 자신의 호칭을 '老從'이라 하였고, 정미년 3월부터 신미년 4월까지 도산서원 방문자들을 기록한 『尋院錄』에서 '永陽 李揆淵'이라는 기록을 통해 그가 이규연이라는 인물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그의 성명이 포함된 다른 연명편지 중 盈德에서 거주한 李孝淵(1820~1891)이라는 인물 정보를 통해 이 편지의 작성연대와 작성지역을 추측할 수 있다.
1차 작성자 : 서진영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82년 이규연(李揆淵) 서간(書簡)

肯搆堂 調案 執事。
翊東 老從 答書。 封。
參魚五尾。藿一條。星村叔送之。此意可佳。祝蛉之托。
專恃指揮。無乃苦事耶。
去歲此際。卽累夜聯枕之時也。脉脉一
念。靡日不切於君邊。而今復思之。依然
一夢想。忽此情緘遠投。披玩數三。怳
對百里鬲歲顔面。仍審殷春
靖攝啓居。尙未振作。此固前冬外侵
之餘孼。而其亦年老者例也。何足爲怪耶
胤哀春峽之行。其間想已返面。而各家面
面。如前日樣否。馳念之至。又復賀祝。老從。
自秋冬以來。雖不委臥。而善添知是常例。
右指兩段。無端作梗。始終殆三四朔餘。今才
少可。且兩査。喪出意外。方營窆事。而
色色酬應。又一番紛擾。寧有寄世之况味耶。
穉孫非凡骨格。是可愛奇貨。而隨渠母。方在
。每入眼森森。未知經事後。趁卽下來耶。
巢亭山變。掘去似無期。良覺寒心。將緣何以
快雪神人之憤也。前宅祧埋日字。定在不遠。
事當一二員晉參於祀事之席。而愚弟。渠亦
七十老矣。猝地騎卒辦不得。◘經往往忽地
呻吟之症。徒步險嶺。似不生意。坐在遠地。徒
增愴感之懷耳。所約之物。坐於指末之累月辛古。尙不
下手者。良以此也。今則可謂到九
仞之功。而粧成
似遲緩。近來
孫兒。久不習字。
休紙克難。方
廣搜修粧。而
亦不容易。遇
此信便。竟違
付送。雖恨曷
及。簡紙付來。
今便似好。而
旣未果。則待
後信傳。亦何妨。譜事事
係重大。非淺
見孤陋者。良不
堪當。恨不圖
護軍公在世之日。今又延拖。則又豈無後付之歎耶。年事
爻象。稍勝丙子。而其空空。尤甚丙子。塗炭生靈。老去
益深。良可苦也。適撓呼倩。不具式。
情照。
壬午 二月 念四日。老從 揆淵 答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