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60년 김도명(金道明)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1+KSM-XF.1860.0000-20090831.002325700265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김도명
작성시기 1860
형태사항 크기: 30 X 37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가송 영천이씨 농암종택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가송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60년 김도명(金道明) 서간(書簡)
1860년 2월 25일, 안동 가야에 사는 김도명분천에 있는 긍구당에 보낸 편지다. 선조의 유고를 교감하는 일로 류은로 및 3~4명과 만나 7~8일 정도 모임을 가졌는데, 수신인과 덕장 형이 참석하지 못해 아쉽다고 하였다. 한편, 혼사에서 상대 측 집안의 가격이 조금 차이가 있어도 이것은 세속의 마음이므로 자신은 개의치 않는다고 하였다. 아울러 그믐 전에 연길을 보내야 하니, 빨리 강서를 보내달라고 하면서 사주단자도 함께 보내주는 것이 어떠냐고 물었다. 추신에서 사위 학세포상으로 문상을 갔는데, 도착했냐고 물었다.
1차 작성자 : 김효심

상세정보

1860년 2월 25일, 안동 嘉野에 사는 金道明은 선조의 유고를 교감하는 모임에 수신인과 德章 형이 참석하지 못한 아쉬움을 토로하고, 또 그믐 전에 연길을 보내야 하니, 빨리 강서와 사주단자를 보내달라는 내용을 전하기 위해 汾川에 있는 긍구당에 보낸 편지
1860년 2월 25일, 안동 嘉野에 사는 金道明은 선조의 유고를 교감하는 모임에 수신인과 德章 형이 참석하지 못한 아쉬움을 토로하고, 또 그믐 전에 연길을 보내야 하니, 빨리 강서와 사주단자를 보내달라는 내용을 전하기 위해 汾川에 있는 긍구당에 보낸 편지다.
선조의 유고를 교감하는 일로 柳殷老 및 3~4명과 만나 7~8일 정도 모임을 가졌는데, 수신인과 德章 형이 참석하지 못해 아쉽다고 하였다. 한편, 혼인에서 상대 측 집안의 家格이 조금 차이가 있어도 이것은 세속의 일반적인 마음이고, 또 아이들이 집안의 등급이 있다고 하지만 한 번 웃음에 부쳤다고 하였다. 그리고 강서는 이미 당신의 책상에 있으니 달을 넘겨 예사를 보내는 것은 세속에서 꺼린다고 하고, 또 그믐 전에 연길을 써서 통보하려고 하니, 강서를 부쳐 보내는 것이 어떠하냐고 하였다. 아울러 강서에 사주단자를 겸하지 않으면 예식을 갖추지 못한 것이니 먼저 柱使를 먼저 보내는 것이 어떠하냐고 하였다. 추신에서 사위 學世浦上으로 문상을 갔는데, 도착했냐고 물었다.
수신인은 '肯構堂'이라고만 적혀있어 누구인지 알 수 없다. 긍구당은 분천에 있는 농암종택의 별당이다.
발신인 김도명(1803~1873)은 자가 純伯, 호가 畏庵, 본관이 光山이다. 아버지는 星魯이고, 柳尋春의 문인이다. 柳台佐·李漢膺·李彙寧·柳致明·柳疇睦 등과 교유하였다. 周溪書院·龍溪書院 등에서 학규 14조를 작성하여 후학들을 양성했고, 藍田呂氏鄕約을 모방하여 洞約을 만들었다. 저서로 『畏庵集』이 전한다.
1차 작성자 : 김효심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60년 김도명(金道明) 서간(書簡)

肯構堂 靖案 回敬。
嘉野 弟 謝狀。謹封。
未一旬而承
二札。仰感厚意。頓釋阻戀。矧審
動止增吉者乎。
大老令候迄未復常。還切慮仰。弟。以
藏稿校勘事。約會柳殷老兄及數三四
友。凡七八日而罷。此是缺界勝事。而恨不與
兄及德章兄共之也。云事業已奉諾矣。
彼家設有微差。此自世俗常情。而聞兒
輩有等云云。然弟則付之一笑矣。向承
來書。且聞文重等傳。則有若歉然於其間
者。然兄我之間寧有是嫌耶。剛書旣在
貴案。則禮使踰月。亦涉俗忌。故欲以晦
前涓吉通書。付送剛書。如何。柱單未及受
來耶。近世都從省禮。只送日使。而今此
剛書。未兼柱單。則不具禮。而先送柱使否。幸
德章
相議。眎及
如何。不宣。伏

情照。
庚申 二月 二十五日。弟 金道明 拜。

學世甥前期作浦上問祥行云。中
路留滯。可恠。今已抵達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