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15년 김당유(金堂儒)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1+KSM-XF.1815.1100-20090831.002825700114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김당유
작성지역 서울특별시
작성시기 1815
형태사항 크기: 29.6 X 42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오천 광산김씨 설월당종택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오천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15년 김당유(金堂儒) 서간(書簡)
1815년 11월 17일에 친족 조카인 김당유(金堂儒)가 상대의 안부를 묻고 약 처방전을 전하며, 선조인 후조당(後彫堂) 김부필(金富弼)과 관련한 일의 경과를 알리기 위해 숙부에게 보내는 편지이다. 처음 숙부와 숙모의 안부를 물었다. 이어서 상대가 요청한 약 처방전[和劑]를 기록하여 올린다고 하였다. 그리고 복령탕(茯苓湯)의 경우 빈속에 복용하고, 천민탕(千緡湯)의 경우 잠자기 전에 복용하며, 하루에 두 약을 함께 복용해야 함을 알렸다. 발급자 자신의 근황으로 일 보러 서울에 올라온 지 1년이 다 되었는데 아직 일이 끝나지 않았다고 하였다. 후조당 선조에 대한 일도 해결되지 못했음을 알렸다.
1차 작성자 : 김동현

상세정보

1815년 11월 17일, 族姪인 金堂儒가 상대의 안부를 묻고 和劑를 전하며 後彫堂 金富弼(1516∼1577)과 관련한 일의 경과를 알리기 위해 叔父에게 보내는 편지
1815년 11월 17일에 族姪인 金堂儒가 상대의 안부를 묻고 和劑를 전하며 後彫堂 金富弼(1516∼1577)과 관련한 일의 경과를 알리기 위해 叔父에게 보내는 편지이다.
처음 숙부의 편지를 받아 안부를 확인하였지만 숙모의 병 소식을 들어 매우 염려된다고 하였다. 이후 시간이 다시 한 달이 지나 그 상간에 상대의 안부를 물었다. 자신이 타향살이 하고 있기에 제때 가서 문후를 살피지 못해 고민된다고 하였다. 이어서 상대가 요청한 和劑를 기록하여 올린다고 하였다. 그리고 茯苓湯의 경우 빈속에 써야 하고, 千緡湯의 경우 잠자기 전에 쓰며, 하루에 두 약을 함께 복용해야 함을 알렸다. 이는 비록 病錄이 아니더라도 익숙하게 살펴본 증세라 이렇게 고할 수 있다고 하였다.
발급자 자신은 서울에서 객으로 지낸 지 1년이 다 되었다고 하였다. 그간에 보던 일의 경과가 기약이 없어서 마음을 졸이고 있기에 우선 일이 끝나기를 기다려 다시 고향으로 내려 갈 것임을 알렸다. 또한 후조당 선조의 일 역시 조정에 대신들이 부재중인데다가 당파 싸움이 심하여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정에서의 언급이 없기에, 지금까지 헛수고 한 것에 대해 답답하다고 하였다. 끝으로 奉獄 관련 일을 언급하였는데, 누구의 일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추록으로 黃茶 2봉을 보내니 식후마다 마시면 좋다고 하였다.
발급자 김당유는 본관은 光山, 자는 淑升이다. 부친은 이며, 山南 金富仁의 8대손이다. 『光山金氏禮安派譜』에는 그의 忌日만 기록되어 있어 자세한 생몰년은 알 수 없다. 하지만 『고문서집성』01 에 수록된 광산김씨 후조당 문중의 문서 가운데 "1806년 김상(金瑺) 외 소지(所志)", "1826년 김양수(金良鐩) 등 상서(上書)" 문건에 김당유의 이름이 연명되어 있는 것으로 을해년1815년으로 추정하였다.
1차 작성자 : 김동현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15년 김당유(金堂儒) 서간(書簡)

叔主前 答上書。
拜違侍右。倏忽春而夏矣。秋而冬
矣。慕仰之忱。與序俱深。料外伏
承下書。仍審
氣候欠和。叔母氏調候添損。伏
不勝驚慮萬萬。而厥后更一月
矣。寒事又闌矣。伏未審
二分調候更若何。羈旅千里。末由
趁卽探候。第伏切悶迫而已。奈何。
和劑依敎錄呈。伏令湯則空
心用之。千緡湯則臨臥煎用。一日
兼服二藥然後。可以責效。伏未知如
何。雖不以病錄。習審症勢。故玆
以仰告耳。族侄。客此京洛。于今一年。
營事果結。尙此無期。這間焦迫
之狀。何可盡達。姑俟事決。尋鄕爲計。
而歲華將盡。尤不禁忡悒耳。
後彫公事。因此大臣之不在。又有南北之戰。
似不暇及於他人事。故今此虛
歸。不勝慨鬱。雖然勢也。奈何。
奉獄之奇。何以詳聞。不勝鬱
鬱。餘不備。伏惟
下鑑。答上書。
乙亥 至月 十七日。族侄 堂儒 上書。

黃茶二封仰呈。每食後以茶用之。則似好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