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09년 조술지(趙述志)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1+KSM-XF.1809.0000-20090831.023025700855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조술지, 성○○
작성시기 1809
형태사항 크기: 30.2 X 35.9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상주 승곡 풍양조씨 입재공파종택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09년 조술지(趙述志) 서간(書簡)
1809년 1월 25일에 조술지가 성 생원에게 보낸 답장편지이다. 상대방의 편지를 받고 편안하다는 안부를 알게 되어 위안이 된다고 하였다. 이어 본인의 근황을 전했다. 22일 선친의 기일이 지나가니 새로운 슬픔과 옛 감정이 마음에 교차하였고, 거기다가 중부(仲父)의 근력이 점차 예전 같지 않으며, 뜻밖에 울촌(蔚村)의 초상이 나서 요즈음 지내는 것이 견디기 어렵다고 하였다. 다음 달 초순에 상대방이 방문한다고 하여 기다려진다는 내용으로 편지를 마무리 하였다.
『옛편지낱말사전』, 하영휘, 돌베개, 2011.12
『한문서찰의 격식과 용어』, 박대현, 아세아문화사, 2010.12
1차 작성자 : 김명자

상세정보

1809년 1월 25일에 趙述志가 자신과 중부 및 율촌의 초상 등의 소식을 전하면서 방문하겠다는 소식에 미리부터 기다려진다고 成生員에게 알린 내용의 편지.
1809년 1월 25일에 趙述志가 자신과 중부 및 율촌의 초상 등의 소식을 전하면서 방문하겠다는 소식에 미리부터 기다려진다고 成生員에게 알린 내용의 편지이다.
편지를 받고 새해에 부모님은 더욱 장수하는 경사를 누리고 어버이를 보시는 생활이 날마다 여유롭다는 것을 알고는 이곳의 형편과 비교하면 한없는 세황이 있다고 할 만하니 매우 위안이 된다고 하였다.
자신은 22일 선친의 기일이 지나가니 새로운 슬픔과 옛 감정이 마음에 교차하는데 거기다가 仲父의 근력이 점차 전과 같지 않고 蔚村의 초상이 뜻밖에 나서 요즈음 지내는 것이 견디기 어렵다고 하였다. 다음 달 초순에 방문한다는 말은 미리 기다려진다며 끝인사를 붙여서 마무리 하였다.
발신자 조술지(1765~1839)의 본관은 豐壤, 초명은 志城, 자는 氣帥이다. 獅然의 장자로 舊堂公에게 입후되었다.
『옛편지낱말사전』, 하영휘, 돌베개, 2011.12
『한문서찰의 격식과 용어』, 박대현, 아세아문화사, 2010.12
1차 작성자 : 정재구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09년 조술지(趙述志) 서간(書簡)

成生員座前。 稽顙謹封。
稽顙。方與舍妹。日謀新年探候之道。而未尙果焉。恒庸
悚仄。意外貴价先到。兼施
下疏。可感不較雅度。而益不勝不敏之罪。謹審新元。
堂上體韻。增膺難老之慶。
舞彩承歡。日有充裕。比之此間情緖。可謂有無限歲況。
爲之仰慰區區。罪弟奄當此時。哀隕情事。已無可言。而卄二
第奄過讐日。居然又過。新哀舊感。交集于中。重以仲父筋力。漸
不如前。蔚村喪變。出於夢外。日來經歷。種種難抑。奈▣(何)。
但億也男妹。可謂充潤。而其滔浪特甚。至於字數之
學。非乃舅所可下手處。故只是任之而已。然其穎拔才分。
必是不勞而得者。豈以此日之不得誠實爲悶耶。弟則宿
症有更發之漸。厭進未寐等。諸般症恙。俱是不好消息。
是豈小小憂耶。時氣月前偏及廊下。丁壯一僕。畢竟見
化。其後無蔓及之患。而自家壅塞。不但慘其
死而已也。來旬惠臨之示。預切企望。今則妙
女雙玉俱在。此不待勤邀。必有自然引情之
理耳。遺札勿忘如何。餘荒迷不次。不備䟽
式。
下照。答䟽上。
己巳 正月 二十五日。姻弟罪人 趙述志 疏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