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07년 조세경(趙世經) 외 5인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1+KSM-XF.1807.0000-20090831.023025700685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조세경, 조석선, 조석전, 조석류, 조석찬, 조석진, 조목수
작성시기 1807
형태사항 크기: 35.9 X 52.5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상주 승곡 풍양조씨 입재공파종택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07년 조세경(趙世經) 외 5인 서간(書簡)
1807년 3월 20일에 조세경 외 5인이 조목수의 형제들에게 당사와 관련하여 자신들의 자제들이 당원에게 소견을 제시한 일을 꾸짖은데 대한 견해를 제시하는 편지이다. 자신들의 보고 들은 것이 이와 같기 때문에 이곳의 자질들이 이미 그 설을 들었는데 지금 온 편지에 비록 근거가 없다고 하니 어찌 의혹을 해소하겠느냐고 안타까워하면서, 선조의 일을 자손이 따라 행하는데 어찌 피차의 구별이 있겠느냐며 비록 구별하려고 하더라도 인정을 참작한다면 어찌 차마 도외시하여 사절하겠느냐고 하였다.
『옛편지 낱말사전』, 하영휘, 돌베개, 2011.12
『한문서찰의 격식과 용어』, 박대현, 아세아문화사, 2010.12
1차 작성자 : 김선주

상세정보

1807년 3월 20일에 趙世經 외 5인이 堂事와 관련하여 자신들의 자제들이 당원에게 소견을 제시한 일을 꾸짖은데 대한 견해를 趙沐洙의 형제들에게 제시하는 편지.
1807년 3월 20일에 趙世經 외 5인이 堂事와 관련하여 자신들의 자제들이 당원에게 소견을 제시한 일을 꾸짖은데 대한 견해를 趙沐洙의 형제들에게 제시하는 편지이다.
性孫이 돌아와 편지를 받고 형제분들과 아래 위 마을의 여러 가족들도 편안하며 齋舍監役所의 여러 노인도 손상이 없음을 알아 위안이 된다고 첫인사를 하였다. 그러나 堂宇의 일과 비석을 새기는 일을 아직 끝내지 못했다니 여러 어른들의 정성과 노고를 상상할 수 있는데 비록 오가며 일을 볼 수 없으니 생각은 마음에서 떠나지 않는다고 하였다. 堂事는 이곳의 자질들은 堂員 집에 편지를 보내서 회유한 말을 잘 알았고, 上舍의 편지를 보니 이곳의 행동이 전례도 없고 근거할 곳도 없다고 허물을 꾸짖으며 같이 화합할 뜻이 없으니 실로 의아하고 개탄스럽다고 하였다. 성손의 말을 들으니 우리 마을의 연소배들이 부형이 있는데도 아뢰거나 의논하지 않고 이 같은 일을 하니 매우 불가하다고 하였는데, 대개 이 일은 노소의 소견이 본래 같으나 자신들이 당우의 일을 분분하게 말하는 것은 때가 아닌 것과 관련된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연소배들이 당원에게 소견을 진술한 것은 참으로 까닭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하면서, 자신들이 비록 못났지만 불의를 어찌 엄금하지 않겠느냐고 하였다.
다만 온 편지를 보니 行任과 堂錄 등에 관한 일은 허망하여 의혹을 해소하지 못하겠다고 하면서, 일이 지친과 관계되어 매우 상서롭지 못하니 지극한 걱정을 말하지 않을 수 없다고 하였다. 五垈 종형이 일을 맡은 것에 대해서는 世從이 정녕 살아있을 때 직접 들었으니 자신들이 비록 혼모하지만 말이 귓가에 들리는 듯하고 일은 어제 같다고 하였다. 堂錄은 典從이 찾아내 당회를 열었을 때 살폈으며 책자 2권 중 1권은 군데군데 불을 태운 흔적이 있었으며 책 모양이 눈앞에 있는 것 같은데 당시 자리에 있던 당원은 반드시 기억하는 자가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자신들이 비록 못났으나 근거 없는 설을 시비의 마당에 지어 내었다면 하늘이 미워할 것이라고 하였다.
자신들의 보고 들은 것이 이와 같기 때문에 이곳의 자질들이 이미 그 설을 들었는데 지금 온 편지에 비록 근거가 없다고 하니 어찌 의혹을 해소하겠느냐고 안타까워하면서, 사람의 보고 듣는 것이 같은 수 없는데 어찌 여러분이 보지 못했다고 해서 자신들이 직접 보고 들은 것을 허망한데로 돌리느냐고 항변하였다. 한마디로 선조의 일을 자손이 따라 행하는데 어찌 피차의 구별이 있겠느냐며 비록 구별하려고 하더라도 인정을 참작한다면 어찌 차마 도외시하여 사절하겠느냐고 하였다. 신중을 기해야할 당록을 客員으로 대한다면 이는 할 일이 아니라고 하면서 월나라 사람과 형이 활을 쏘는 고사를 인용하면서 당원이 저지하고 장난치는 것은 이치에 어긋나거늘 하물며 여러 어른들이 고집하는 것이 어찌 개탄스러운 것이 아니겠느냐고 하였다.
평소 자신들이 여러 어른들을 경앙하는 것은 그 처사가 신중하고 지론이 공평하기 때문에 우리 가문의 동량으로 의지하며 마음으로 복종한 것이 70년이었는데, 지금 이일에 이르러서는 실로 뜻밖이어서 개탄을 이길 수 없다고 하였다. 대군자가 처세하는 도리는 후한 데에 잃을지언정 박한 데에 잃지 말아야 하니, 일이 비록 한 집안과 관련이 있으나 천만번 깊이 생각하여 선처하고 구별하지 말아달라고 부탁하였다.
수신자 조목수(1736∼1807)는 조선 후기 유학자로 본관은 豊壤, 호는 舊堂이다.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오직 자기 수양과 후진 양성에 힘썼다. 시문집으로 10권 5책의 『구당선생문집』이 전한다.
『옛편지 낱말사전』, 하영휘, 돌베개, 2011.12
『한문서찰의 격식과 용어』, 박대현, 아세아문화사, 2010.12
1차 작성자 : 정재구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07년 조세경(趙世經) 외 5인 서간(書簡)

漁耕 族從等候書 謹封。
舊堂 棣案侍者。
日氣暄姸。卉木芳華。白頭懷昂。尤切於老朋伴。
頃於性孫回。叩審
棣履起居。一向晏重。上下村諸致平安。齋舍監役所
僉老人。俱無損節於費心勞攘之地。種種仰慰。而堂
宇之役。以役丁甚艱。尙未斷手。碑所鐫刻。亦未告迄。
僉尊之渴誠賢勞。可以想得。雖不能往來看事。而貢念歉
恨。無時少釋于中。族從等。摧頹日甚。有若朽株之逢春。無發
榮意。自憐奈何。就堂事。此處子姪輩。有所文字於堂員家。
得悉回諭。兼見上舍從書。反覆辭意。以此處擧措。歸之於
無前規無憑據之科。而督過牢拒。無和同之底意。實有所訝
惑。而慨然者矣。聞性孫言。則僉史以吾村年少輩有父兄在。而
不稟不議。爲此大擧者。甚不可云。大抵此事。老少之所見。元無異
同。而第念吾輩七耋例事者。以堂事紛紜說去。有涉非時。故使
渠輩。一陳所見於堂員。欲爲繼錄於堂案者。良有以也。渠輩
豈無所受而然哉。從等雖無似。如其不義。豈不嚴禁耶。而第觀
來書中。至於行任堂錄等事。歸之虛妄。終不破惑。事係至親。
不祥莫大。憂悶之至。不得不一言仰暴矣。至於五垈從兄主行任事。
世從丁寧親聽於自家。在世之日。則從雖昏耗。言猶在耳。事如
隔晨矣。堂錄則典從搜出。奉審於堂會時開座中。而冊子
二卷中一卷。則有斑斑落火之痕。冊樣大小宛在目中。當時
在座堂員。亦必有記念者矣。從等雖無似。以慢漶不根之
說。刱出是非之場。則天厭天厭矣。從等耳聞目見如是。故此處子侄
旣聞其說。則今此來書。雖謂無據。豈破其惑哉。人之見聞。不能
皆同。甲之所未聞。乙或聞焉。乙之所未見。甲或見之。豈可以僉史
之未見未聞。歸虛於從等親聞的見乎。一言以弊曰。先
祖勤勞手澤之地。子孫之隨行。豈可彼此而區別也。雖欲
別之。參以人情。豈
忍自外而謝絶
哉。持重堂錄。待
以客員。此是行不
得之事也。越人
彎弓。談笑而道
之者。疎之也。其兄
彎弓。垂涕泣而
道之者。親之也。堂
員之阻戱。猶屬
悖理。況僉尊
之堅執。豈非深
可慨然處乎。平
日吾輩之景仰
尊史。以其處事
之審愼。持論
之公平。而倚焉吾門之蓍
龜樑棟。心悅誠服者。今七十
年矣。至於今日事。實是意
外。尤不勝慨歎。大君子處
世之道。寧失於厚。無失於薄。
事在一家。千萬熟思。而善
處毋使區別。固歸於
先祖手澤之地。如何如何
餘非久當往陳。只此不備
狀謝。

丁卯 三月 念日。族從 世經 錫璿 錫典 錫類 錫瓚 錫瑨 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