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69년 이교순(李敎淳) 위장(慰狀)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1+KSM-XF.1769.4717-20090831.00282570040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교순, 이형순, 김협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769
형태사항 크기: 21.3 X 28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오천 광산김씨 설월당종택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오천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769년 이교순(李敎淳) 위장(慰狀)
1769년 10월 26일에 척종 이교순이형순이 돌아가신 증조모의 소상에 참석하지 못해 죄송한 마음을 자신의 근황과 함께 전하기 위해 김협에게 보낸 편지이다. 상대방에게 증조모의 소상이 지나가는데 애통한 것을 어떻게 감당하며 지내는지 안부를 묻고 이어 본인의 소식을 알렸다. 자신은 늙어 몸이 수척하여 사람 구실을 잘 못하고, 또 두 세 명의 아이와 손자들은 방해되는 일이 많았다는 것과 빗길에 막힌 것 때문에 참석하지 못한 이유를 밝혔다. 그런 뒤에 상대방에게 추운 날씨 속에 편히 지내시는지, 빈소를 모시는 곳도 편안한지 물으면서, 마지막 부분에는 지금 저희들이 성묘하러 가는 길에 여막 아래에 들러 가도록 했다고 하였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光山金氏禮安派譜』,
1차 작성자 : 김선주

상세정보

1769년 10월 26일, 척종 이교순이형순이 돌아가신 증조모의 소상에 참석하지 못해 죄송한 마음을 자신의 근황과 함께 김협에게 전하기 위해 보낸 편지.
1769년 10월 26일에 척종 이교순이형순이 돌아가신 증조모의 소상에 참석하지 못해 죄송한 마음을 자신의 근황과 함께 전하기 위해 김협에게 보낸 편지이다.
처음 부분에 발급인은 상대방에게 세월이 빨리 흘러가서 증조모의 小祥이 지나가는데 애통한 것을 어떻게 감당하며 지내는지 안부를 물었다. 그리고 이어 본인의 소식을 알리면서 자신은 늙어 몸이 수척하여 사람 구실을 잘 못하고, 또 두 세 명의 아이와 손자들은 방해되는 일이 많았다는 것과 빗길에 막힌 것 때문에 참석하지 못한 연유를 알렸다. 자신은 친척이면서도 길을 가는 사람만 못하니 슬프고 부끄러움을 감당할 수 없다고 하였다. 그런 뒤에 상대방에게 추운 날씨 속에 편히 지내시는지, 빈소를 모시는 곳도 편안한지 물었다. 마지막 부분에는 지금 저희들이 성묘하러 가는 길에 여막 아래에 들러 가도록 했다고 하면서 편지를 써서 여기에 부치니, 제대로 말을 만들지 못했다고 하였다. 이어 상대방에게 잘 헤아려 달라는 당부도 빼놓지 않았다.
이 편지의 수신자인 김협김휘세의 셋째아들 金鏶(초명은 遠昌)의 손자이며, 아버지는 金尙文이다. 본관은 光山, 자는 長仲이고, 호는 芝厓다. 모친은 안동권씨로 冲齋 權橃(1478~1548)의 후손인 權斗建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성리학의 기본 서적에 잠심하여 암송할 정도였고, 집안이 가난해도 의관과 예의범절을 절도 있게 하여 세금을 징수하는 관리들도 그의 집에 이르러서는 난동을 부리지 않을 만큼 어진 행적으로 주위를 감화시켰다고 한다.
이 편지는 위장의 형식을 띠고 있다. 위장은 일반 서간에 비해 특별한 서식을 갖추고 있다. 즉 일반 서간에 비해 글씨를 작게 쓰고 초서가 아닌 정서를 쓰며 지면의 상단을 확연하게 띄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중에 있는 사람의 편지는 '書'라 하지 않고 '疏'를 쓴다. 또 수취인이 머물고 있는 곳을 廬次라고 칭한 것을 보아도 위장이 분명하다. 한편 피봉은 단봉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발급인은 적혀있지 않고 수취자만 적혀있는데 왼쪽 상단 부분에 '芝厓廬次奉疏', 즉 '喪中에 있는 芝厓에게 소장을 올림'이라고만 적혀 있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옛편지낱말사전』, 하영휘 외, 돌베게, 2011
『慶北儒學人物誌』, 한국국학진흥원,영남유교문화진흥원, 영남사, 2008
1차 작성자 : 김선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69년 이교순(李敎淳) 위장(慰狀)

芝厓廬次 奉疏。
省式。日月流邁。
先曾祖妣淑夫人初祥奄過。
哀痛罔極。何以堪居。顧此癃病。固不得備數於人。而數三
兒孫輩。苦多肘掣。出頭不得。八月
祀事之日。準擬趨慰。阻於雨水。又未果焉。是親
戚而不如路人。可勝悲愧。卽者寒令。
兩代慈侍候。連獲支安。侍殯起處。亦得安保否。悲
溯無已。今因小孫省楸之行。俾轉趨廬下。艸艸付
此。不能爲說。餘不宣疏式。
哀量。
己丑 十月 二十六日。戚從 李敎淳 馨淳 省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