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58년 정동구(鄭東耈)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1+KSM-XF.1758.0000-20090831.02302570076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정동구, 조○○
작성시기 1758
형태사항 크기: 30 X 46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상주 승곡 풍양조씨 입재공파종택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758년 정동구(鄭東耈) 서간(書簡)
1758년 9월 17일에 정동구가 사위 상을 당한 슬픔을 위로하기 위해 보낸 편지이다. 사위를 잃은 상대방에게 슬픈 마음을 전하고 벗으로서의 정을 저버린 것에 대해 자책하였다. 이어서 집안의 상을 만난데다 눈병을 앓고 있어 세상사는 재미가 없는 자신의 근황을 전하였다.
『옛편지 낱말사전』, 하영휘, 돌베개, 2011.12
『한문서찰의 격식과 용어』, 박대현, 아세아문화사, 2010.12
1차 작성자 : 서진영

상세정보

1758년 9월 17일에 鄭東耈가 사위를 잃은 수신자를 위로하고, 일가의 상과 눈병을 앓아 찾아가지 못하는 자신의 근황을 전하면서 죽어 황천길에서 만나 슬픔을 나누자고 오작당에 보낸 편지.
1758년 9월 17일에 鄭東耈가 사위를 잃은 수신자를 위로하고, 일가의 상과 눈병을 앓아 찾아가지 못하는 자신의 근황을 전하면서 죽어 황천길에서 만나 슬픔을 나누자고 오작당에 보낸 편지이다.
500리 산천은 꿈에서도 넘기 어려우니 소식을 어찌 전하겠느냐고 첫인사를 꺼냈다. 지난해 풍편으로 형이 사위를 잃었다는 소식을 듣고는 그것이 사실인지 어찌 그러한 일이 있느냐고 안타까워하면서 하늘이 선한 사람에게 보답하는 것이 어찌 이렇게 어두운지 자신도 모르게 가슴이 찢어지듯 애통하다고 하였다. 그러면서도 아직 그 진위도 알아보지 못했으니 이것이 어찌 친구끼리 서로 사랑하는 정이겠느냐고 자책하면서 위문편지를 쓰려 해도 눈물이 옷을 적셔 적지 못했다고 하였다.
자신은 여러 차례 일가의 상을 당했고 또 눈병을 앓아 물건을 보지 못해 사람과 귀신의 관문을 드나드니 세상사는 재미라고는 없으니 형이 마음을 상해 세상을 살아가는 마음을 상상할 수 있다고 하였다. 다만 죽어 황천길에서 슬픔을 이야기하기를 기다린다며 끝인사를 붙여 마무리 하였다.
발신자 정동구의 본관은 海州이며 金友濂(1677~1742)의 장인이다.
『옛편지 낱말사전』, 하영휘, 돌베개, 2011.12
『한문서찰의 격식과 용어』, 박대현, 아세아문화사, 2010.12
1차 작성자 : 정재구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58년 정동구(鄭東耈) 서간(書簡)

生員 下史。 ▣謹封。
▣…▣。
半千里山川。夢想難
越。消息何傳。年前
因風便。聞
兄喪婿之奇。其然。豈其然
乎。天之報善人。一何昧昧
也。不覺長痛而摧心也。
尙今未探眞僞。豈故人相
愛之情哉。欲書慰字。而
淚濕未能成也。弟亦多
哭一家喪。又患眼昏。不能
視物。此生出入人鬼關頭。
更無人世況味。可想
兄之感傷渡世也。只待泉路敍
悲也。倩草不具。伏惟
兄照。謹上狀。
戊寅 九月 十七日。病弟 鄭東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