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54년 노경문(盧絅文)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1+KSM-XF.1754.0000-20090831.023025700527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노경문, 조시경
작성시기 1754
형태사항 크기: 26.4 X 44.7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상주 승곡 풍양조씨 입재공파종택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754년 노경문(盧絅文) 서간(書簡)
1754년 윤4월 2일, 노경문이 장인인 조시경에게 보낸 편지이다. 자신은 예전처럼 지내며 아이들도 탈이 없어 다행이라고 하고, 처남의 과거 합격을 축하하면서 합격 잔치가 멀지 않아 있을 것인데 언제 열리는지를 묻는 내용이다.
『옛편지 낱말사전』, 하영휘, 돌베개, 2011.12
『한문서찰의 격식과 용어』, 박대현, 아세아문화사, 2010.12
1차 작성자 : 김선주

상세정보

1754년 윤4월 2일에 盧絅文이 처남의 과거 합격을 축하하면서 합격 잔치가 언제 열리는지를 장인인 趙時經에게 묻는 편지.
1754년 윤4월 2일에 盧絅文이 처남의 과거 합격을 축하하면서 합격 잔치가 언제 열리는지를 장인인 趙時經에게 묻는 편지이다.
10일이 되도록 소식을 듣지 못하여 사모하고 울적한 회포가 날과 함께 자란다고 하면서 건강이 어떠한지를 물었다. 어제 방을 전하는 종이 長川에 갔다고 하는데 여러 사람의 말이 한 입에서 나온 것 같으니 이것은 틀림없는 소식이니 기특하고 장하다며 축하를 하였다. 자신은 예전처럼 지내며 아이들도 탈이 없어 다행이나 날마다 피곤하여 책을 읽는데 뜻이 없으니 스스로 탄식한들 어쩌겠느냐고 하였다. 과거합격 잔치가 멀지 않아 있을 것인데 언제인지 물으면서 끝인사를 붙여 마무리 하였다.
발신자 노경문조시경(1686~1755)의 사위이다. 수신자 조시경의 자는 羲甫, 호는 中厓이다. 숙종조의 격변으로 정국이 자주 바뀌는 데 실망하여 과거를 보지 않고 위기지학에 힘쓰면서 후진양성에 일생을 바쳤다. 成伯은 趙錫愚(1721~?)의 자로 이 해(1754) 증광시 병과에 합격하였다. 다른 자료에는 자가 省伯으로 되어 있으며 호는 存省齋이다.
『옛편지 낱말사전』, 하영휘, 돌베개, 2011.12
『한문서찰의 격식과 용어』, 박대현, 아세아문화사, 2010.12
1차 작성자 : 정재구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54년 노경문(盧絅文) 서간(書簡)

▣▣。
浹旬未得音信。慕鬱之懷。與日
俱長。伏未審淸和。
靜養體候。連護萬安。昨日傳
聞榜奴往長川云。而言者數三。如
出一口。此必的傳。奇哉。壯哉。奉賀
萬萬。料不出成伯從兄弟。而誰
果掛名龍門耶。甚鬱甚鬱。甥。姑保
昔狀。兒輩俱免恙。可幸。而日見侵
困。無意於書字間。自歎奈何。到門
想在不遠。其果何時耶。餘適因
兒輩向歸便。暫此替賀。不
備。伏惟
下監。上書。
甲戌 閏四月 初二日。甥 盧絅文 上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