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54년 여문주(呂文周)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1+KSM-XF.1754.0000-20090831.023025700486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여문주, 조○○
작성시기 1754
형태사항 크기: 29.2 X 45.2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상주 승곡 풍양조씨 입재공파종택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754년 여문주(呂文周) 서간(書簡)
1754년 12월 21일, 여문주가 미상의 수신자에게 보낸 편지이다. 형의 병에 대해 염려하며 약을 써서 치료를 늦추지 말기를 바랐고, 누이 병의 회복과 정자가 걱정 없이 지냄을 전해 들었다. 이어 자신과 손부의 근황을 전하고, 2, 3월에 날씨가 화창해지면 찾아가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는 뜻을 알렸다.
『옛편지 낱말사전』, 하영휘, 돌베개, 2011.12
『한문서찰의 격식과 용어』, 박대현, 아세아문화사, 2010.12
1차 작성자 : 김선주

상세정보

1754년 12월 21일에 呂文周가 병을 빨리 치료하기를 바라며, 자신과 손부의 근황을 전하고, 봄 날씨가 화창해지면 찾아가겠다는 뜻을 미상의 수신자에게 알리는 편지.
1754년 12월 21일에 呂文周가 병을 빨리 치료하기를 바라며, 자신과 손부의 근황을 전하고, 봄 날씨가 화창해지면 찾아가겠다는 뜻을 미상의 수신자에게 알리는 편지이다.
그립던 중에 편지를 받아 우울하던 회포를 폈지만 형이 병을 앓는다니 염려가 된다고 하였다. 다만 기가 부딪치는 증상은 痺胃가 고르지 못한 소치이나 혹 궁한 살림에 골몰하고 번란한 일에 수응을 하지 못해 마음이 편치 않아 그런지를 묻고, 의원에게 묻고 약을 써서 치료를 늦추지 말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다만 누이 병이 점차 회복되어 매우 기쁘고, 正字는 이미 월급도 받고 걱정 없이 지낸다고 하니 매우 다행이라고 하였다. 어버이를 위해 한 郵官을 도모한다면 기쁘겠지만 운수에 관계되니 어찌 망령되이 구하겠느냐고 하였다. 이어 자신과 손부의 근황을 전하면서 2, 3월에 날씨가 화창해지면 나아가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는 심정을 전하였다. 새해를 맞아 만복을 누리기를 바란다는 끝 인사에 이어 달력은 보내준 수대로 받아 매우 감사하다는 추신이 붙어 있다.
발신자 呂文周(1683~1767)의 본관은 星山, 호는 菊窩이다. 일찍이 문학에 뛰어났고, 계모에게 효성이 지극하였다. 양사당을 중수하여 학풍을 진작시켰으며, 국내 명승지는 두루 편력하였고, 작고 후 동지중추부사에 증직되었다.
『옛편지 낱말사전』, 하영휘, 돌베개, 2011.12
『한문서찰의 격식과 용어』, 박대현, 아세아문화사, 2010.12
1차 작성자 : 정재구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54년 여문주(呂文周) 서간(書簡)

趙生員 下史。 ▣▣。
▣…▣。
久矣夫阻音之若是也。戀溸方切。
意外便中。得承
惠札。足攄向來鬱紆之懷。因
審歲暮窮陰。
兄履欠和。雖或一時偶感。而其
爲仰慮不啻尋常。第氣衝
之症。必是痺胃不調之致。或
緣汨沒窮契。未能酬應煩亂。
不安心而然耶。問醫試藥。卽當
得速收。幸勿緩治。是所區區之望
也。但妹病雖未快完。肌膚勝
昔。則漸向蘇常。聳喜不可
量。正字旅食安穩。已得付料
云。經過似無憂。甚幸。而爲親屈。
速圖一郵官。喜如之何。而是亦
關數事。其可妄求耶。弟病依前苦。柰何。孫婦姑
無恙。柔和漸佳。自莫非弟家之幸耶。病裡思想
彼此一般。而無由抽身。若得二三月春和。大擬進
敍。又不遠添一齒。安知無加一病也。是慮是慮。餘萬歲除
隔旬。迓新蔓福。餞舊美
疹。眼暗神昏。艱草不宣。伏惟
兄照。拜謝上狀。
甲戌 臘月 卄一日。病弟 文周 拜。

惠曆依受
多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