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675년 남천택(南天澤)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1+KSM-XF.1675.4717-20090831.002825700285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남천택, 김휘세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675
형태사항 크기: 31.5 X 46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오천 광산김씨 설월당종택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오천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675년 남천택(南天澤) 서간(書簡)
1675년 윤5월 10일, 남천택이 여식이 병이 심하다고 들었는데 자기가 서울에 올라가기 전에 여식을 자신에게 보내줄 것을 간청하기 위해 보낸 편지이다. 먼저 무더위에 상대방의 안부를 묻고 자신은 벼슬을 받아 15일에 서울에 올라갈 생각이나 여식을 보내준다면 그 시기를 며칠 늦출 것이라고 하고 있다. 이어서 자신이 혹시 없더라도 자신의 형이 여식의 병을 치료할 것이니 여식을 보내줄 것을 간청하고 있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光山金氏禮安派譜』,
1차 작성자 : 김인호

상세정보

1675년 윤5월 10일, 남천택이 자신의 여식의 병세를 듣고 상대에게 여식을 보내주실 것을 간청하기 위해 보낸 편지.
1675년 윤5월 10일, 南天澤이 여식이 병이 심하다고 들었는데 자기가 서울에 올라가기 전에 여식을 자신에게 보내줄 것을 간청하기 위해 보낸 편지이다.
먼저 더위가 심한 요사이에 상대방께서는 잘 지내고 계신지 안부를 묻고 있다. 이어서 여식의 병이 심하여 회복하기 어렵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당신께서 여식을 보내주실 것을 간청하고 있다. 자신은 관직을 제수받아 15일에 서울에 올라갈 계획이었으나 여식이 14, 15, 16일이 오기 좋은날이라고 하니 당신께서 여식을 보내주신다면 하루, 이틀 정도를 미루어 딸을 만나보고 서울로 올라갈 계획이라고 하였다. 끝으로 자신은 관직에 제수된 것이 이미 오래되어 일이 급한데 또 며칠을 미루게 되었다며 상대방을 재촉하고 있다. 추록에서는 자신이 비록 없더라도 자신의 형이 집에 남아 여식의 병을 치료할 것이며 朝報는 보내드렸지만 상소와 箚子는 다른 사람이 빌려가서 자신에게 없다고 하고 있다.
남천택(1619~1684)은 본관은 英陽, 자는 蘇宇, 호는 苔巖이다. 할아버지는 南隆達이며 아버지는 南礏이고 宋福基의 외손이다. 1648년 식년시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 정언, 예조 정랑, 호조 참의, 충청 도사, 경주 부윤 등을 역임하였다. 만년에는 당쟁에 염증을 느껴 고향으로 낙향하였다.
수급자는 피봉에 金院長으로 되어 있는데 당시 金輝世가 도산서원 원장을 지냈으며 그의 아들 金碩昌남천택의 사위가 된 점을 보았을 때 金院長은 김휘세로 생각된다. 김휘세(1618~1690)의 본관은 光山, 자는 應時, 호는 松坡로 金坽의 아들이다. 당시 사림의 重望을 받았으며 벼슬은 공조 좌랑, 용궁 현감을 역임하였다.
이 편지는 안동지역 양반들의 교유관계를 알 수 있는 기본 자료로서 풍산김씨 가문과 영양남씨 가문의 혼맥으로 연결되었으며 이를 통해 향촌사회에 영향력을 미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光山金氏禮安派譜』,
1차 작성자 : 김인호

이미지

원문 텍스트

1675년 남천택(南天澤) 서간(書簡)

院長。下吏。
狀上。
溽熱比劇。此時。
兄聯履萬相。慰仰慰仰。女息所患。病根深
痼。日漸沈苦膄敗云。若不趁時治療。
回蘇未易。矜憐矜憐。弟欲於十五發行矣。
上去之後。則回應遲速。未可預料。幸
兄細諒此情。女息暫爲
命送。以爲相見之地如何。女息之來。十四十五十六。
此三日。皆平吉云。故弟姑退一兩日。欲爲
奉見後上去。情亦慽矣。萬乞
快令起送。如何如何。弟之除授已久。上京
時刻爲急。而以此又延數日耳。餘
萬。諸處修答房午。姑此不宣。伏惟
兄照。謹拜狀上。
乙卯 閏月 初十日。弟天澤 頓。

弟雖上去。舍兄。在家在村。若備
則舍兄。可以指揮劑治矣。
朝報送上。疏箚他人借去
未還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