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624년 이상급(李尙伋)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1+KSM-XF.1624.4717-20090831.002825700248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상급, 김령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624
형태사항 크기: 25.3 X 50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오천 광산김씨 설월당종택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오천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624년 이상급(李尙伋) 서간(書簡)
1624년 8월 5일에 安東府使 李尙伋金坽에게 쓴 편지로, 김령의 위문에 사례하는 한편 김령형조좌랑에 제수된 것을 전하는 내용이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光山金氏禮安派譜』,
1차 작성자 : 박세욱

상세정보

1624년 8월 5일에 安東府使 李尙伋金坽에게 쓴 안부편지
1624년 8월 5일에 安東府使 李尙伋金坽에게 쓴 안부편지이다.
김령이 위문에 사례를 표하면서 백성들을 노엽게 한 것은 스스로 자초한 것이라고 겸사를 표하는 한편, 조보를 통해 김령刑曹佐郎이 되었다고 알렸다. 자신이 부친의 기일을 맞아 令胤과 회포를 풀지 못하는 것을 안타까워하면서 나머지 내용은 줄였다.
백성들을 노엽게 한 사건은 『계암일록』 1624년 7월 30일 일기에 나타난다. 안동에서 무뢰한이 밤에 횃불을 들고 향교 뒷산에 올라가 안동부사를 꾸짖고 욕한 일로 감사가 듣고 안동부사를 파직시켜 내쫓으려는 의도로 일으킨 것이라고 한다.
이상급(1572~1637)의 본관은 碧珍, 자는 思彦, 호는 拙夫, 習齋이고, 시호는 忠剛이다. 白沙 李恒福(1556~1618)에게 배웠다. 병자호란 때에 남한산성으로 인조를 扈從했다가 형 李尙吉이 순절했다는 비보를 듣고 통곡하며 강화로 가던 도중에 적병에게 살해되었다. 우암 송시열이 지은 충강공신도비명이 있으며, 吏曹判書에 추증되었다.
김령(1577~1641)은 본관은 光山, 자는 子峻, 호는 溪巖, 시호는 文貞이다. 부는 縣監 金富倫이며, 모는 平山申氏 副護軍 申壽民의 딸이다. 禮安 烏川에 거주하였다. 1612(광해군 4)에 문과에 급제하여 主書에 이르렀으나 광해군의 혼란한 정치를 비관해 낙향하였다. 죽을 때까지 마지막 20여 년 간은 문 밖 출입을 삼가며 오가는 사람도 방에 앉아 영접하고 보내, 세상에서 영남의 제1인이라고 불렀다. 문집으로 『溪巖集』 6권이 있고, 일기인 『溪巖日錄』이 전한다. 해당 편지를 받은 사실은 『계암일록』 1624년 8월 5일 일기에 기록되어 있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光山金氏禮安派譜』,
1차 작성자 : 박세욱

이미지

원문 텍스트

1624년 이상급(李尙伋) 서간(書簡)

緣弟不穀。致此
勤問。旣感厚意。更增未安。弟政
多悖惡。重被民怒。自取宜乎。
何足爲怪。第事勢狼狽。亦不得
快決去就。而尙此强顔臨政。其
爲貪戀極矣。愧汗沾背。近欲
偸隙。一做良覿。而失伍至此。更
對何顔。從今恐不能再登
龍門也。頃見邸報。審
兄左除秋官郞。厥後未知還
替否也。適緣親忌。心事愴
感。未得與
令胤相敍而送。歎恨尤極。餘萬
擾未一一。統希
情亮。謹此
上謝狀。

甲子 八月 初五日。僉知生 尙伋 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