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경○년 손만웅(孫萬雄)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1+KSM-XF.0000.0000-20090831.023025700579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손만웅
형태사항 크기: 23.4 X 40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상주 승곡 풍양조씨 입재공파종택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경○년 손만웅(孫萬雄) 서간(書簡)
경○년 1월 6일에 손만웅이 조 생원에게 보내는 편지이다. 편지에서 복통이 있다고 하니 매우 염려가 된다고 하면서, 자신은 멀리 부모님 곁을 떠나 병을 무릅쓰고 길을 떠나니 걱정을 말로 할 수 없다고 하였다. 이어 어제 김천승이 찾아와 전한 편지의 답장은 심부름꾼을 오게 하여 전할 계획이며, 괴강의 친구 부탁은 그대로 실행할 뿐임을 알렸다.
『옛편지 낱말사전』, 하영휘, 돌베개, 2011.12
『한문서찰의 격식과 용어』, 박대현, 아세아문화사, 2010.12
1차 작성자 : 김선주

상세정보

경○년 1월 6일에 孫萬雄金泉丞이 전한 편지의 답장은 심부름꾼을 오게 하여 전할 계획이며, 槐江의 친구 부탁은 그대로 실행할 뿐임을 趙生員에게 알리는 편지.
경○년 1월 6일에 孫萬雄金泉丞이 전한 편지의 답장은 심부름꾼을 오게 하여 전할 계획이며, 槐江의 친구 부탁은 그대로 실행할 뿐임을 趙生員에게 알리는 편지이다.
편지를 쓰고 영윤을 보내 멀리 이별하는 회포를 위로해 주니 기쁘고 감사한 마음을 이길 수 없다고 첫 인사를 하였다. 다만 편지에서 복통이 있다고 하니 매우 염려가 된다고 하면서, 자신은 멀리 부모님 곁을 떠나 병을 무릅쓰고 길을 떠나니 걱정을 말로 할 수 없다고 하였다. 어제 金泉丞이 찾아와 형의 편지를 따로 전했는데, 답장은 수신자의 심부름꾼을 오게 하여 드릴 생각이라고 알렸다. 槐江 李 벗의 부탁은 그대로 시행할 뿐이라고 하면서 끝인사를 덧붙여 마무리 하였다.
발신자 孫萬雄(1643∼1712)의 본관은 慶州, 자는 敵萬, 호는 野村이다. 1669년(현종 10) 식년시 문과에 급제하여 공조·예조·형조의 좌랑을 지냈다. 1677년(숙종 3) 동지사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680년(숙종 6) 경신대출척으로 서인이 정권을 잡자 고향인 상주로 낙향하였다가,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집권한 후 복귀한 후 공주·나주·괴산·청주의 목사를 거쳐 1692년(숙종 18) 동래부사로 부임하였다. 저서로 『야촌선생문집』이 있으며, 1784년(정조 8) 상주시 龜湖書院에 배향되었다.
『옛편지 낱말사전』, 하영휘, 돌베개, 2011.12
『한문서찰의 격식과 용어』, 박대현, 아세아문화사, 2010.12
1차 작성자 : 정재구

이미지

원문 텍스트

경○년 손만웅(孫萬雄) 서간(書簡)

昨覆想已
入照矣。
惠手札。送令胤。慰此遠
別之懷。可勝欣感之情。
第審
有河魚之痛。仰慮萬萬。弟
遠離親傍。力疾登途。
悶切何言。昨日金泉丞
訪。另傳
兄示。答以爲使貴伻來呈
耳。槐江李友處秤
念。當依施爾。萬萬極忙
不宣。謹謝狀。
元 六日。弟 萬雄 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