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일에 弟 洪秀輔가 미상의 수신자에게 부탁한 일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면서, 임무의 원활한 수행에 필요한 하인을 추천하는 편지
즉일에 弟 洪秀輔가 미상의 수신자에게 부탁한 일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면서, 임무의 원활한 수행에 필요한 하인을 추천하는 편지이다.
여러 해 소식이 막힌 사이에 부모상을 당했다는 소식을 듣고 인편을 찾아 위장을 부쳤으나 답장을 받지 못해 답답했는데, 행차가 잘 도착하였다는 것을 듣고 즉시 만나지 못했으나 위안이 되었다고 하였다. 자신은 이 일로 해를 보내느라 날마다 몹시 바빠 걱정이지만 어쩌겠느냐고 하였다. 사은숙배는 언제 하느냐고 묻고 조석으로 곧 만나게 되어 미리 다행으로 여긴다고 하였다. 편지 끝에 말한 일은 부탁이 아니라 응당 전례대로 행해야 하는 것이며, 이 임무는 사람을 고르는 것이 중요한데 수신자가 자신의 말을 믿을 것 같아 미리 말한다고 하였다. 院隸 車德奉은 자신이 여러 해 부리던 종인데 영리하고 원 중의 전례에 밝아 이보다 나은 사람이 없으니, 그를 쓰라는 당부를 담은 별지를 덧붙였다.
발신자 洪秀輔(1723~?)의 본관은 豊山, 자는 君實이다. 1756년(영조, 32)정시 문과에 급제하였고, 1758년 승지에 발탁되었다. 1781년(정조, 5) 동지부사로 중국에 다녀왔고, 1794년 판의금부사에 임명되었다가 1795년 벼슬에서 물러난 뒤 奉朝賀가 되었다. 시호는 簡憲이다.
『옛편지 낱말사전』, 하영휘, 돌베개, 2011.12
『한문서찰의 격식과 용어』, 박대현, 아세아문화사, 2010.12
1차 작성자 : 정재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