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무인년 권준연(權俊淵)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1+KSM-XF.0000.0000-20090831.003325700306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권준연, 이○○
형태사항 크기: 39 X 34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무인년 권준연(權俊淵) 서간(書簡)
무인년 10월 27일 권준연이 이 생원에게 보내는 편지이다. 상대방이 아내 상을 당해서 당연히 조문해야 하지만 여러 가지 일로 연일 골몰하고 있는데다가 본인도 또한 상을 당하여 조문하려던 뜻을 이루지 못하여 미안한 마음을 전하는 내용이다.
『한문서찰의 격식과 용어』, 박대현, 아세아문화사, 2010.12
『조선시대 간찰 서식 연구』, 김효경,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1차 작성자 : 김명자

상세정보

무인년 10월 27일에 權俊淵이 재령이씨의 이 생원이 부인상을 당했지만 조문을 가지 못해 미안한 마음을 담아 이 생원에게 보내는 편지.
무인년 10월 27일에 權俊淵이 재령이씨의 이 생원이 아내상을 당했지만 조문을 가지 못해 미안한 마음을 담아 이 생원에게 보내는 편지이다.
수신자가 아내의 상을 당한 것은 실로 놀랍고 애통한 일로, 만년에 아내를 잃은 비통하고 슬픈 마음을 어떻게 감당하고 계신지 물었다. 시간이 빨리 흘러 祥期가 얼마 남지 않는 가운데 상대방과 상대방 가족은 생활을 잘 지탱하고 있는지도 물었다.
상대방의 상사에 본인도 슬픈 마음을 견딜 수 없다고 했다. 상대방을 조문하여 지난날의 쌓인 빚을 갚아야 하나 연일 골몰하고 근심으로 보내고 있고 또 그 사이 공제복의 참상을 만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고 했다. 다만 편지로 미안함을 전하니 너그럽게 용서해주길 바란다고 하였다.
권준연은 편지를 마무리 한 이후 종이를 왼쪽으로 돌려 다시 別告를 적었다. 대략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본인은 근년에 오랫동안 골몰하는 일로 문밖에 조문할 겨를이 없다고 했다. 상대방 부부 사이에 정이 있었다는 사실을 언급한 이후, 부인의 상에 문상을 가거나 편지라도 써서 위문을 해야 하는데 두 가지 모두 빠트렸다고 했다. 이번에 상기가 지났다는 소식을 알게 되었다고 하면서 대군자의 포용력과 큰 도량으로 본인을 이해해준다면 일생동안 그 마음을 가슴에 깊이 새기겠다고 했다.
권준연이 편지를 쓸 당시에는 상기가 지나지 않았으나 미처 부치지 못하고 있다가 상기가 지났다는 소식을 접한 이후 별고를 적어 보낸 듯하다.
권준연은 추신에 '別告'라고 하여 다시 조문하지 못한 것에 대해 정중하게 미안한 마음을 전했으며, 이에 대해 『周易』 泰卦의 '包荒'[包荒, 用馮河, 不遐遺, 朋亡, 得尙于中行]을 인용하여 상대방의 이해를 구하였다.
『한문서찰의 격식과 용어』, 박대현, 아세아문화사, 2010.12
『조선시대 간찰 서식 연구』, 김효경,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1차 작성자 : 김명자

이미지

원문 텍스트

무인년 권준연(權俊淵) 서간(書簡)

俊淵。省式再拜言。德門不倖。
尊閤夫人喪事。承實驚慟。夫復何喩。伏惟。
伉儷義重。晩年悲悼之懷。尤何以堪任也。且星燧遽改
祥期不遠。種種酸苦。當復爲新矣。伏問此峕。
服中軆候。不瑕有損。胤舍僉孝履。更何以持支。庇內諸節。
亦一衛否。並伏遡不任悲悃。俊淵。今於有事之日。當掃萬趨
進。以贖前日山積之逋。而連汨憂冗。且間遭功制之慘。末由遂意。
秪以一紙替伸。罪窘容喩。餘。不備。伏惟
服照。
戊寅 十月 二十七日。記下 權俊淵 狀上。
李生員。朞服座前。

別告。
頃於尊座持制之日。俊之踈外之誅。已不敢自逭。而且自比年來。長
汨於竟夕不眠之憂。未遑於戶外弔唁。然竊伏念。執事之荐遭前後喪禍
也。屢致赴書。未始不由於鄙家。賢婦之與執事。有表內情誼。而俊之於尊座。不惟未遂
扶服之誠。循例紙問。亦從而幷闕焉。今此過期追告。豈足以伸區區情禮哉。雖然。仰
想大君子包荒盛度。絶非小人之腹所能料。則庶或見原於記府之中。而不以遽斥
之。俊雖無似。烏得無一生銘感之衷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