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90년 조학수(趙學洙) 시권(試卷)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1+KSM-XD.0000.0000-20090831.023027300012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증빙류-시권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정치/행정-과거-시권
작성주체 조학수
형태사항 크기: 130 X 82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790년 조학수(趙學洙) 시권(試卷)
조학수(趙學洙)가 제출한 과거시험 답안지[詩卷]로, 성적은 차상(次上)을 받았다. 제목은 「시의 문왕손자본지백세범주지사불현역세(詩義 文王孫子本支百世凡周之士不顯亦世)」이고, 『시경(詩經)』의 내용 중 문왕(文王)의 덕치 이념에 대해 칭송했다. 문왕의 덕치 및 인본주의 정치 이념은 『대학(大學)』의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와도 연결되며, 유학 이념을 토대로 세워졌다고 했다.
서진영

상세정보

조학수『시경』의 내용을 해석하여 제출한 과거시험 답안지
조학수(趙學洙 : 본관 豊壤)가 제출한 과거시험 답안지[詩卷]로 『시경(詩經)』의 내용 가운데 특정 문구를 해석한 것이다. 『시경(詩經)』의 내용에는 역대 제왕의 덕치를 송축하는 것들이 많지만 이중에서도 문왕(文王)의 덕치 이념을 칭송한 내용이 많다고 했다. 이러한 이념은 결국 『대학(大學)』의 수신(修身)․제가(齊家)․치국(治國)․평천하(平天下) 개념과 연결된다고 하며 문왕의 덕치 및 인본주의 정치 이념이 유학의 이념을 토대로 작용된 것이라고 한다.
※조학수(趙學洙) : 1739~?. 본관 풍양(豊壤). 자 회지(誨之). 거주지 상주(尙州). 부(父) 조석우(趙錫愚). 정조(正祖) 14년(1790년) 경술(庚戌) 증광시(增廣試) 생원(生員) 2등(二等) 14위. (사마방목 참고)
김근호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