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27년 황번로(黃磻老) 외 177인 상서(上書)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1+KSM-XB.1827.4725-20090831.023023100009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작성주체 황번로
작성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작성시기 1827
형태사항 크기: 130 X 106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27년 황번로(黃磻老) 외 177인 상서(上書)
입재(立齋) 조대윤(趙大胤)은 효성이 남달리 지극했으며, 성리학 연구와 학문이 순수하고 정밀하여 선비들과 유림들에게 칭송을 받는 인물이었다. 하지만 그에 대한 조정의 특전이 내려지지 않자 정해년 12월에 생원(生員) 황번로(黃磻老) 등 영남 지역의 유생들이 어사[巡相]에게 호소문을 올려서 조정의 특전을 상신해 달라고 촉구했다.
서진영

상세정보

정해년(丁亥年) 12월에 생원(生員) 황번로(黃磻老) 등이 어사[巡相]에게 입재(立齋) 조대윤(趙大胤)에 대한 조정의 특전을 상신하기를 촉구한 호소문이다.
황번로(黃磻老) : 1766∼1840. 본관은 장수(長水), 자는 숙황(叔璜), 호는 백하(白下), 거주지는 상주(尙州)이다. 정종로(鄭宗魯)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연구하여 학문의 바탕으로 삼았다. 1789년(정조 13)에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나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만 전심하고 시사(詩社)를 결성하여 강세백(姜世白)·이경(李敬)·강세륜(姜世綸)·강세규(姜世揆)·강봉흠(姜鳳欽) 등과 명승지를 찾아다니며 음풍농월로 자적하였다. (유교넷 참고) 정조(正祖) 13년 (1789) 기유(己酉)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2등(二等) 14위 부(父)는 황계희(黃啓熙), 형(兄)은 황신로(黃莘老)․황암로(黃巖老)이다. (사마방목 참고)
김근호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