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592년 유성룡(柳成龍) 교서(敎書)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1+KSM-XA.1592.1111-20090831.018722100039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교령류-교서
내용분류: 국왕/왕실-교령-교서
작성주체 류성룡
작성지역 서울특별시 종로구
작성시기 1592
형태사항 크기: 108 X 77.5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592년 유성룡(柳成龍) 교서(敎書)
임진왜란에 류성룡이 큰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격려하고자 1592년 국왕이 쓴 교서(敎書)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나 민심이 흉흉해지고 추위까지 겹쳐 매우 어려운 지경에 처해있을 때 류성룡 같은 위인이 나타나서 국가의 환란을 타개하고자 큰 역할을 맡게 된 것을 다행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류성룡은 구사적으로도 뛰어난 전략가인데다가 그 재주와 역량이 출중하여 이 위기를 잘 극복 할 것이니 기대하겠다고 했다.
김동현

상세정보

임진왜란에 류성룡이 큰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격려하고자 1592년 국왕이 쓴 교서(敎書)
임진왜란에 류성룡이 큰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격려하고자 1592년 국왕이 쓴 교서(敎書)이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여 조선 팔도에 왜적이 들끓고 민심이 흉흉해져 종묘사직이 위태로운 사정에 이르렀다고 하며, 엄동설한이 다가와 고초를 당한다고 했다. 이러한 지경에 이른 시점에서 류성룡 같은 구국간성이 나타나 큰 역할을 수행하게 된 것이 다행이라고 했다. 공은 군사전문가로서 전술과 병법에 뛰어날 뿐만 아니라 재주와 역량이 출중하여 이러한 위기를 잘 극복해 내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1차 집필자 : 김근호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