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590년 선조(宣祖) 교서(敎書)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1+KSM-XA.1590.1111-20090831.018722100036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교령류-교서
내용분류: 국왕/왕실-교령-교서
작성주체 류성룡
작성지역 서울특별시 종로구
작성시기 1590
형태사항 크기: 114.8 X 42.5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590년 선조(宣祖) 교서(敎書)
유성룡을 수충익모광국공신 3등에 녹훈하는 교서이다. 수충익모광국공신은 종계변무의 공을 인정하여 내린 공신호로 1등에 3명, 2등에 8명, 3등에 9명을 녹훈하여 공신호와 함께 많은 혜택을 주었다. 종계변무는 조선 건국 초기 왕실의 종계가 명나라 『태조실록』과 『대전회전』에 잘못 기록되어 있어 이를 바로잡아 달라고 요청했던 일이다. 조선 태조 이성계가 고려의 권신 이인임의 후손이라고 잘못 기록되어 조선은 명나라 측에 수없이 정정을 요청했고 선조 17년에 뜻을 이루게 되었으며, 1589년 윤근수가 『대전회전』 전부를 받아옴으로써 종계변무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었다.
김동현

상세정보

1590년에 유성룡에게 종계변무의 공을 인정하여 수충익모광국공신 3등에 녹훈하는 교서
1590년 8월에 宗系辨誣의 공이 있는 유성룡을 輸忠翼謨光國功臣 3등에 녹훈하는 교서이다. 수충익모광국공신은 宗系辨誣의 공을 인정하여 내린 공신호로 1등에 3명, 2등에 8명, 3등에 9명을 녹훈하여 공신호와 함께 많은 혜택을 주었다. 이들에게는 본인에게 한 資級을 더 올려주고, 부모에게 봉작하고, 嫡長은 대대로 세습하여 녹을 잃지 않게 하고 후세에까지 죄를 용서하며, 伴儻 5인․노비 7구․丘史 2명․田 60결․銀 20냥․表裏 1단․내구마 1필을 주는 등 상당한 혜택을 부여했다. 종계변무는 조선 건국 초기 왕실의 종계가 나라 『太祖實錄』과 『大典會典』에 잘못 기록되어 있어 이를 바로잡아 달라고 요청했던 일이다. 조선태조李成桂고려의 권신 李仁任의 후손이라고 잘못 기록되어 조선나라 측에 수없이 정정을 요청했고 1584에 가서야 뜻을 이루고, 1589尹根壽가 『대전회전』 전부를 받아옴으로써 종계변무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었다.
1차 집필자 : 김근호

이미지